-
실험실 소개
우리 연구실은 후성유전학(Epigenetics)을 연구하는 곳으로,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으면서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탐구합니다. 쉽게 말해, 후성유전학은 ‘유전자 스위치’가 켜지거나 꺼지는 방식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 주제 및 실험 방법
우리 연구실에서는 후성유전학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분석 기법을 활용합니다. 주요 실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DNA 메틸화 분석: DNA에 화학적 표지가 붙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현상을 연구합니다.
- 히스톤 변형 분석: DNA가 감겨 있는 단백질(히스톤)이 어떻게 변화하여 유전자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봅니다.
- 염색질 접근성 분석(ATAC-seq): 유전자 조절 부위가 얼마나 열려 있는지를 분석하여 유전자 발현 조절 기작을 연구합니다.
- RNA 시퀀싱(RNA-seq): 세포 내에서 실제로 발현되는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파악합니다.
- Bioinformatics: 컴퓨터 프로그램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후성유전적 변화를 연구합니다.
인간 발생 과정과 후성유전학
우리가 하나의 세포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후성유전학적 조절 덕분에 가능해집니다. 후성유전적 변화를 통해 같은 DNA를 가진 세포들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게 되죠. 예를 들어, 신경세포와 근육세포는 같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후성유전학적 조절에 의해 서로 다른 역할을 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질병과 후성유전체 연구
후성유전적 변화는 암, 당뇨,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암에서는 정상적인 DNA 메틸화 패턴이 깨지면서 암 억제 유전자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후성유전적 변화를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찾고, 새로운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Bioinformatics를 활용한 후성유전학 연구
후성유전체 연구에서는 많은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 (Bioinformatics)이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후성유전체 데이터를 해석하여 유전자 발현 조절 패턴을 찾고, 질병과 연관된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를 합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후성유전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다양한 실험 기술을 배우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생명과학, 의학, 데이터 분석에 흥미가 있는 학생이라면 함께 연구에 도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