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실 소개
인체의 면역시스템은 병원균 감염에 대한 방어, 조직 항상성 유지 및 암 발생 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면역시스템은 이상은 병원균에 대한 인체 방어 기능의 무력화를 야기할 수 있고, 비정상적 염증반응으로 인한 당뇨병,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뿐만 아니라 암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최근 암, 대사질환 등 비면역성 난치성 질환의 발병 및 병리진행 과정에서 염증 반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이에 발맞춰 면역활성 제어에 기반한 난치성 질환 치료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서 면역관문치료제 (Immune checkpoint blockade)는 항암 면역반응의 재활성화에 기반한 차세대 항암치료요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암생물학 실험실은 대식세포, T 세포, B 세포 등 면역 세포의 기능적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전달 메커니즘 연구를 바탕으로 in vitro 공배양 플랫폼 및 동물실험 등을 통해 i) 미생물-점막조직 숙주세포 상호작용과 ii) 암세포-암미세환경 기질세포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면역세포의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직내 세포간 상호작용에 따른 면역세포 분화를 제어하는 핵심 신호전달인자 발굴을 통해 궤양성 대장염, 암 등의 난치성 질환 치료 및 신규 백신보조제 개발을 위한 분자적 타겟을 발굴하고자 합니다.
연구 주제
-
항암 면역반응 제어 연구팀
- 암미세환경내 암세포-기질세포-면역세포 상호작용 규명
- 종양대식세포 분화 조절 메커니즘 연구
- 항암 면역치료용 면역 제어인자 및 신규 타겟 발굴
-
대식세포 분화 제어 연구팀
- 장 점막조직내 미생물-숙주-면역세포 상호작용 규명
- 대식세포 분화 조절 메커니즘 연구
-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유용미생물 대사체 및 조절인자 발굴
-
B 세포 항체반응 제어 연구팀
- 병원균 감염 조직내 면역세포간 상호작용 규명
- B 세포 분화 및 항체 반응 조절 메커니즘 연구
- 바이러스 백신 효능 증진용 신규 타겟 발굴
암생물학실험실 연구원
- 박성원 (박사과정): 염증성 질환 동물모델, 대식세포 공배양, 면역표현형 및 전사체 분석
- 민혜진 (박사과정): 암 이식 동물모델 및 암조직 면역반응성 분석
- 이예진 (박사과정): 감염 동물모델, GC B 세포 공배양 및 항체반응 분석
- 김태성 (학부연구원): 암세포주 배양 및 유전자 발현 분석
- 박한결 (학부연구원): 염증인자 정량 및 조직병리 분석
- 김진아 (학부연구원): 유전자 발현 조절 세포주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