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주제
유전체학 연구실의 주요 연구 목표는 복합 질환 (complex disease) 및 관련 형질(trait)들과 관련된 유전적 architecture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전장유전체연관분석(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을 통한 질환 연관 변이들의 발굴을 비롯하여, 유전적 상관성 (genetic correlation) 분석을 통한 유전자들의 다면발현성 (pleiotropy) 이해, 멘델리안 무작위 분석(MR: Mendelian Randomization)을 이용한 질환 원인유전자 발굴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GWAS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다유전자위험도점수(PRS: polygenic risk score) 산정하여 인구집단 내에서의 질환 발생 예측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LCL 유래 RNA 시퀀싱을 시도하여 이 샘플들에 대한 전사체 정보와 유전체 정보를 연계한 eQTL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연구 프로젝트
- 전장유전체 다중 형질 분석을 통한 대사증후군 관련 유전적 상관성 규명 및 질환 발생 예측 (한국연구재단)
- 파킨슨병 환자 코호트에서 질환 관련 유전변이 및 유전자 탐색 (보건산업진흥원)
- 저항성 고혈압 환자에서 오믹스 분석 (질병관리청)
- 신체계측형질에 대한 유전요인 분석 국제공동 컨소시엄 연구 (GIANT: The Genetic Investigation of ANthropometric Traits consortium)
- 혈중 지질 농도와 관련된 유전요인 분석 국제공동 컨소시엄 연구 (GLGC: The Global Lipids Genetics Consortium)
실험실 구성원
성명 | 학번 | 학위 | 연구과제 |
---|---|---|---|
임우영 | 13 | 박사과정 | 파킨슨병 유전요인 발굴 및 관련 quantitative traits와의 유전적 연관성 분석 |
임은비 | 14 | 박사과정 | eQTL DB 구축, 제2형 당뇨병 유전체 분석 |
권성아 | 21 | 석사과정 | 저항성 고혈압 유전요인 발굴 및 관련 quantitative traits와의 유전적 연관성 분석 |
남가윤 | 22 | 학부 연구생 | DTC 사업 관련 형질에 대한 유전변이 프로파일링 |
-
임우영
-
권성아
-
임은비
-
남가윤
-
졸업생 & 재학생
-
졸업생 & 재학생
실험실 졸업생 현황
성명 (학번) | 학위 | 현황 |
---|---|---|
최혁순 (09) | 석사 | 사업 |
홍진태 (10) | 석사 | 오리엔트제니아(CRO) / 시설 관리팀 과장 |
신재훈 (11) | 석사 | 고바이오랩 / 의약개발본부 선임 |
김연준 (13) | 석사 | 한스파마 / 전임연구원 |
안영선 (14) | 석사 | 랩지노믹스 / Lab본부 임상검사팀 선임 |
Sokanha Kong (14) | 학사 | 영국 University of Cambridge 유학 |
김준영 (15) | 석사 | 유투의료재단 / 연구원 |
윤나라 (16) | 석사 | 랩지노믹스 / BI분석팀 주임 |
장승민 (21) | 학사 | 국방과학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