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실 소개
면역치료연구실은 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 질환 등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차세대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CAR-T 세포치료제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 기반 치료 플랫폼을 설계하고, 그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전임상 연구와 함께, 면역세포의 활성, 신호전달, 표적 인식과 같은 기초 면역학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질환 특이적 면역 반응 조절 기전을 규명하여 정밀의료 기반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추구하며,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고려한 전략적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연구 주제
본 연구실은 CAR-T (Chimeric Antigen Receptor-T cell) 기술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면역세포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암 치료용 CAR-T 세포 개발
- 자가면역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CAAR-T 플랫폼 연구
- CAR-X를 이용한 염증성/신경계 질환 치료 전략 개발
- T세포의 유전자 조작, 세포 배양 및 기능 평가 실험 수행
최근 실험실 주요 논문
-
2025, Science Advances
“Composition and function of AChR chimeric autoantibody receptor T cells for antigen-specific B cell depletion in myasthenia gravis”
이 논문에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를 표적으로 하는 자가항체에 반응하는 병적 B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AChR-CAART (Chimeric Autoantibody Receptor T cells) 기술을 개발하고, 전임상 모델에서의 선택성, 효능, 안전성을 입증했습니다.
의의: 중증 근무력증(MG)의 주요 병인인 자가항체 생성 B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CAAR-T 플랫폼의 가능성을 입증하며, 자가면역질환 치료에서 정밀한 면역조절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
2024, Nature
“Fate induction in CD8 CAR T cells through asymmetric cell division”
CAR-T 세포가 분열 시 비대칭 세포분열(asymmetric division)을 통해 기능적 다양성을 획득하며, 이 현상이 세포의 장기 생존력 및 치료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습니다.
의의: CAR-T 세포의 운명을 조절하는 기전을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밝힘으로써, 더 효과적인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세포 배양 및 조작 전략의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
2023, Nature Biotechnology
“Precision targeting of autoantigen-specific B cells in muscle-specific tyrosine kinase myasthenia gravis with chimeric autoantibody receptor T cells”
MuSK 항원을 기반으로 한 CAART 기술을 개발하여, MuSK 양성 중증 근무력증 환자의 자가반응성 B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의의: 자가면역질환의 원인 B세포를 정밀하게 타깃하는 항원 기반 CAR 플랫폼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로, CAAR-T의 질환 맞춤형 확장성을 제시했습니다. -
2025, Science Advances
“Composition and function of AChR chimeric autoantibody receptor T cells for antigen-specific B cell depletion in myasthenia gravis”
이 논문에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를 표적으로 하는 자가항체에 반응하는 병적 B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AChR-CAART (Chimeric Autoantibody Receptor T cells) 기술을 개발하고, 전임상 모델에서의 선택성, 효능, 안전성을 입증했습니다.
의의: 중증 근무력증(MG)의 주요 병인인 자가항체 생성 B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CAAR-T 플랫폼의 가능성을 입증하며, 자가면역질환 치료에서 정밀한 면역조절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
2022, Immune Network
“Engineering cell therapies for autoimmune diseases: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proof of concept”
자가면역질환에 CAR-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술적, 면역학적 과제를 정리한 리뷰 논문으로,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과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찰했습니다.
의의: CAR-T의 암 외 적응증 확대에 대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자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한 가이드라인 성격의 리뷰입니다. -
2020,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Antigen-specific B cell depletion for precision therapy of mucosal pemphigus vulgaris”
자가면역성 수포질환인 천포창(pemphigus vulgaris)을 치료하기 위해 DSG3 항원을 기반으로 한 CAART를 설계하고, 해당 세포가 병적 B세포만을 제거함을 전임상에서 입증했습니다.
의의: CAAR-T 개념을 실제 자가항원에 적용해 자가면역 질환 치료의 proof-of-concept을 제시한 연구로, CAART 분야의 임상 번역 가능성을 연 논문입니다.
Info
-
swoh@hallym.ac.kr (오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