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학30 수행 목표
- 의료·바이오,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융복합 연구 총괄 및 허브 역할 수행
- 신규 융복합 분야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설 지원 ( 임상시험 CRO 전문인력 양성과정 )
교내 분산 자원 집중화 육성 전략
- 의료·바이오융합연구원 산하 연구지원 전담 공동활용 장비지원 센터를 설치하여 융합클러스터 중심 연구 거버넌스 구축 ( 기존 RIC 확대 이전)
- AI 바이오헬스 R&BD 센터 융합 이전 추진중
[ 내부 협력 체계 활성화 ]
융합 연구 추진 계획
- 의료·바이오,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융복합 연구 총괄 및 허브 역할 수행
단기목표 (2025 - 2030)
세부 추진과제 | 실행 기간 |
---|---|
1) R&D 기획단 중심의 융복합 연구 플랫폼 구축 | |
○ 과제(기술) 제안 및 연구 그룹 구성 | ‘25.2 |
○ 외부 전문가 자문 및 컨설팅, 지역 전략사업과의 부합성 검토 | |
○ 기술 수준(특허의 양적/질적 수준) 및 사업화 가능성 분석 | |
2) 연구역량 강화 및 네트워킹 지원 | |
○ 교내‧외 연구센터 소속 연구진들과 기술 교류 ‘피칭 데이’ 운영 | 매년 분기별 1회 지속 운영 |
○ 재단 산하 병원의 의료 연구진들과 기술 교류‧피칭 데이 운영 | |
○ 글로벌 기술 기업의 최신 기술 트렌드 소개 및 피칭 데이 운영 | |
○ 글로벌 수준 연구자들과의 글로벌 네트워킹 지원 매칭 리소스 고도화 | |
3)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개설 및 파일럿 연구 지원 | |
○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설립(2~3개) | ‘25~’30 |
○ 파일럿 프로젝트(1~2건/년) 수행 및 고도화 전략 수립 | |
○ 글로벌 선도연구 추진과제(RFP) 도출 및 대형 국책과제 수주 |
중기목표 (2030 ~ 2035)
세부 추진과제 | 실행 기간 |
---|---|
1) R&D 도약 10개년 추진계획 수립 | |
○ 로드맵 수립 | ‘30.2 |
○ 글로벌 전문가 공동연구 및 지역 전략사업과 병행추진 구체화 | |
○ 핵심 기술 선정 후 수준 고도화 및 사업화 가능성 제고 계획 확립 | |
2) 연구역량 강화 및 네트워킹 지원 | |
○ 국내 선도 그룹 연구진들과 인적 및 기술 교류 프로그램 운영 | 매년 연 1회 지속 운영 |
○ 해외 글로벌 탑티어 연구진들과 인적 및 기술 교류 프로그램 운영 | |
○ 센터 소속 연구진들의 글로벌 네트워킹 자원 매칭 리소스 실용화 | |
3)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개설 및 파일럿 연구 지원 | |
○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설립(2~3개) | ‘30~’35 |
○ 도약 프로젝트(3~5건/년) 수행 및 탑티어 진입 전략 수립 | |
○ 글로벌 선도연구 추진과제(RFP) 실현 및 대형 국책과제 수주 |
융합 연구 추진 현황
- 2024년 제1기 융합 연구 공모 과제 접수 결과 (총 54명 교원 참여 / 총 20개 과제 접수)
구분 | 소속기관 | 접수현황 | 순위권 차지 (최고점수자 세부 평가 기준) |
||||
---|---|---|---|---|---|---|---|
책임 | 공동 | 소계 | 책임 | 공동 | 소계 | ||
대학 | 정보과학대학 | 11 | 11 | 8 | 8 | ||
자연과학대학 | 3 | 2 | 5 | 2 | 2 | 4 | |
소화기연구소 | 2 | 2 | 2 | 2 | |||
의과대학 | 1 | 1 | 2 | 1 | 1 | ||
미래융합스쿨 | 2 | 2 | 1 | 1 | |||
산학협력단 | 1 | 1 | 1 | 1 | |||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 1 | 1 | |||||
경영대학 | 1 | 1 | 1 | 1 | |||
간호대학 | 1 | 1 | |||||
AI융합연구원 | 1 | 1 | |||||
소계 | 20 | 7 | 17 | 12 | 6 | 18 | |
의료원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9 | 9 | 4 | 4 | ||
춘천성심병원 | 4 | 4 | 3 | 3 | |||
강남성심병원 | 3 | 3 | 3 | 3 | |||
동탄성심병원 | 3 | 3 | 2 | 2 | |||
강동성심병원 | 1 | 1 | 1 | 1 | |||
소계 | 20 | 20 | 13 | 13 | |||
외부 | 참여기관 | 4 | 4 | 1 | 1 | ||
타대학 | 3 | 3 | |||||
소계 | 7 | 7 | 1 | 1 | |||
총계 | 20 | 34 | 54 | 12 | 20 | 32 |
- 2024년 제1기 융합 연구 공모 선정 과제 총 11개 수행 중
연번 | *융합유형 | 과제명 | 과제책임자 | 공동연구자 | ||
---|---|---|---|---|---|---|
성명 | 소속 | 성명 | 소속 | |||
1 | BT/IT | 가상환경 착각 공간지각력 검사/훈련 난이도 개인화를 위한 flexible system 구축 | 김선정 | 소프트웨어학부 | 이효정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2 | HT/IT | 자연어처리를 이용한 저에너지 낙상 발생 예측 모델 개발 및 위험요인 분석 | 김유섭 | 소프트웨어학부 | 박주옥 김솔아 |
동탄성심병원 |
3 | HT/IT | 불현성 간성뇌증 진단 음성인식 HEP-AIR 시스템 개발 | 박현숙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김여진 | 강동성심병원 |
석기태 | 춘천성심병원 | |||||
4 | BT/IT | 국민건강보험 코호트 데이터를 이용한 만성부비동염환자의 치매발생 위험모형 평가 모형 개발 및 실증 | 손대순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김동규 | 춘천성심병원 |
5 | BT/HT | TGFb-Trap 펩타이드-BiTE 개발 및 기전 분석에 관한 연구 | 오상욱 | 바이오메디컬학과 | 박성택 | 강남성심병원 |
김형수 | 강동성심병원 / (주)이온셀 | |||||
6 | HT/IT | PET/CT의 감쇠보정용 CT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관상동맥 석회화 CT영상 생성 및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평가 시스템 개발 | 원동욱 | 인공지능융합학부 | 이석현 | 강남성심병원 |
7 | BT/HT/IT | AI 기반 대사증후군 특이 마이크로바오윰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개발 | 이은주 | 소프트웨어학부 | 석기태 | 춘천성심병원 |
오기광 원성민 윤상준 |
한림대 소화기연구소 | |||||
8 | BT/HT | 치매 및 치매유래 말초조직질환 극복연구 | 이찬희 | 미래융합스쿨 | 손종희 | 춘천성심병원 |
9 | BT/IT | AI 기반 역합성 분석 및 난치병 치료제 발굴을 위한 연구 | 최종환 | 소프트웨어학부 | 전세진 | 의학과 |
박종국 | 바이오메디컬학과 | |||||
이정태 | 화학과 | |||||
10 | HT/IT | 대장용종절제시 완전절제 여부를 판별할수 있는 의료 인공지능의 개발 | 허종욱 | 소프트웨어학부 | 오창교 | 강남성심병원 |
11 | HT/IT | HERO(한림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한 급성 신손상 예측모델 개발 및 자동 협진 시스템 디자인 | 황현석 | 경영학과 | 김성균 민세홍 정수진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 융합유형: BT(바이오기술), IT(정보통신기술), HT(보건의료기술)
- 2025년 제2기 융합 연구 공모 과제 연구 분야 제안 취합중 ( 25년 1분기 공모 예정 )
- 2025년 제1차 융합 연구 기획 과제 연구 분야 기획 논의중 ( 25년 1분기 선정 예정 )
교원 협업 네트워크 확대 ( 연구 분야 백서 제작 추진 )
- 교원 개인 프로필과 전문 및 관심 연구 분야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한 융합 연구 주제 도출 기획 추진
- AI 융합연구원 및 의료원 시스템과 연계 및 공동 개발 추진

대학 의료원 협업 네트워크 확대 ( 의료원 데이터 활용 공동 연구 활성화 )
- 한림대학교 의료원 통합 의료 데이터 활용을 위한 HERO 플랫폼 공동 연구 활성화 방안 지원
- 대학 병원간 협력 연구 활성화 포럼 개최 및 공동 연구 관리 조직 신설 추진 ( 향후 AI 바이오헬스 센터에서 담당 )
[ 외부 협력 체계 고도화 ]
대학 지자체 협업 네트워크 확대 ( 시도 추진 연구 사업 기획 지원 )
- 연구개발 특구 유치 추진 지원

-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기반 구축 지원

대외 협력 네크워크 확장 ( 글로벌 기업 연계 한림 테크 데이 개최 )
- 한림 노벨 테크 데이 개최 ( 바이오 인더스트리 글로벌 2위 기업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연계 프로그램 )

해외 협력 네크워크 강화 ( 글로벌 프론티어 리서치 센터 설립 )
- 매사추세츠 의과대학과 의료 인공지능 공동 연구 지원
-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신시네티 간호대학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Cross-cultural 연구 추진
- 하버드 의과대학 의생명정보학부 Yu Lab과 디지털 병리학 연구 추진
- 스텐포드 의과대학 의생명정보학부와 의료 데이터 분석 연구 추진
- 강원도와 보스톤 일차의료 협력체계 구축 추진
- 춘천성심병원 NFRT 연구소 주도 국제 공동연구 협력체계 강화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