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구분 | 치과임프란트학과 | 임상치과교정학과 | 구강보건의료학과 |
---|---|---|---|
공통 필수과목 |
임상치의학연구방법론(2) | ||
공통 선택과목 |
스포츠치의학 및 치과의료정보학(2) 병,의원세무보험론(2) |
||
전공 필수과목 |
임프란트학세미나 I(2) 임프란트학세미나 II(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I(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II(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III(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IV(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V(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VI(2) 임프란트학임상실습 VII(2) |
교정세미나 I(2) 교정세미나 II(2) 교정임상실습 I(2) 교정임상실습 II(2) 교정임상실습 III(2) 교정임상실습 IV(2) 교정임상실습 V(2) 교정임상실습 VI(2) 교정임상실습 VII(2) |
임상치주보철학(2) 임상구강악안면외과학(2) 소아청소년 및 노인치과학(2) 구강질환의 진단과 치료(2) 보건통계학(2) 디지털의학 및 치의학(2) 임상술기 II(2) 임상술기 III(2) |
전공 선택과목 |
임프란트학개론(2) 치과도재학(2) 임프란트생체재료학(2) 임프란트외과학(2) 임프란트보철학(2) 임프란트의유지및관리(2) 임프란트의합병증(2) 임프란트의연조직처치(2) 상악동이식(2) 임프란트교합학(2) 골이식재건학(2) 임프란트최신지견(2) 심미임프란트학(2) 임프란트과련 위험요소(2) 노인임프란트학(2) 가철성임프란트보철학(2) 고정성임프란트보철학(2) 해부,마취 및 약리학(2) 구강내 소술학(2) 임프란트를 위한 골이식재건학(2) |
교정학개론(2) 교정진단학(2) 두부방사선계측학(2) 악안면성장발육학(2) 악기능교정장치론(2) 교정재료학(2) 교정생역학(2) 성인교정학(2) 심미교정학(2) 수술교정치료학(2) 구강악안면기형학(2) 재발과보정론(2) 임상치료교정학Ⅰ(2) 임상치료교정학Ⅱ(2) 임상치료교정학Ⅲ(2) 임상수술교정학(2) |
인체해부 및 병태생리(2) 임상약리학(2) 임상보존학(2) 보건정책학(구강)(2) 임상예방치의학(2) 임플란트치의학(2) 고급치위생학(2) 역학 및 의료정보학(2) 병원행정 및 보험(2) 임상술기 I(2) 병원마케팅-의료질관리(2) 보건교육-세계보건이슈(2) 최신연구방법론-임상시험(2) 스트레스관리-심리상담(2) 최신 구강관리용품론(2) 초기우식증 관리 및 재광화(2) |
교과목 소개
공통 필수과목
임상치의학연구방법론 (Hospital and Clinic Marketing Strategy)
임상치의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통계적으로 접근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 연구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치과임프란트학과
전공 필수과목
임프란트학세미나 (Thesis for Seminar)
임상연구의 계획, 논문자료 검색, 논문작성 및 발간 등에 관하여 세미나 형식으로 학습한다.
임프란트학임상실습 (Implant Clinical Practice)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진단과 치료계획, 방사선판독 및 계측, 외과시술의 준비와 소독, 외과용 기구, 외과용 스텐트의 제작과 응용, 골삭제(drilling)의 기본기, 식립저항(토크)의 측정과 활용, 봉합, 술후처치 및 합병증에 대한 이론과 술기를 실습한다.
전공선택과목
임프란트학개론 (Introduction to Implantology)
최근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치과 임프란트학과 관련된 초기 논문의 고찰과 현재 이론의 기반을 이루는 기초적인 실험과 임프란트 역사에 대하여 언급한다. 또한 임프란트 술식을 위한 조직학적, 해부학적 구조와 토대가 되는 기초 연구에 대해 학습한다.
임프란트보철학 (Implant Prosthodontics)
임프란트 보철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기본 술식 및 응용한 최신 술식을 임프란트 재료, 기공과정, 교합 및 술후 관리에 관해 문헌 고찰 및 다양한 임상 증례를 통해 습득함을 목적으로 한다.
임프란트의합병증 (Complications of Implant)
임프란트 식립의 합병증에 대해 리뷰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및 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상악동이식 (Maxillary sinus graft)
상악 구치부 임프란트 식립시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골부족의 해결방법에 대한 최신 지견과 골이식 재료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둔다.
임프란트교합학 (Iimplant Occlusion)
임프란트 보철에서의 교합이론, 임프란트 보철의 생역학 및 교합조정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가철성임프란트학 (Removable Implant Prosthodontics)
가철성 임프란트 보철의 적응증과 비적응증, 기본 술기, 임상 결과에 대해 학습한다.
임프란트관련 위험요소 (Risk factors in Implant dentistry)
임프란트 시술 전 환자가 가지는 위험요소뿐 아니라 치료계획단계에서 범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살펴보고 사전 처치와 발생 시의 처리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해부, 마취 및 약리학 (Anatomy, Anesthesiology and Pharmacology)
임프란트 시술과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의 다양성, 국소마취, 전신마취, 진정법 관련 내용 및 시술 전 및 시술 후 사용되는 다양한 약제의 약리학에 대해 알아본다.
임상치과교정학과
전공필수과목
교정세미나 (Review of Orthodontic Literature)
교정 진단 및 치료에 핵심이 되는 주요논문 및 최신논문을 고찰하고 앞으로 각 분야의 발전경향을 예측하여 임상진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정리한다.
교정임상실습 (Clinical Practice)
교정진단 및 치료과정을 지도의 감독 하에 단계적으로 참여하여 관찰한다. 간단한 치아이동을 각 증례별로 진료에 참여한다. 발치공간 폐쇄를 위한 다양한 장치를 제작하고 진료에 참여한다. 악교정수술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참여하고 수술과정을 관찰한다.
전공선택과목
교정학개론 (Introduction to Orthodontics)
광범위한 교정학적인 지식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교정 치료의 변천과 더불어 현재 각광 받고 있는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두부방사선계측학 (Cephalometrics)
측모 및 정모 등의 방사선 사진 촬영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사진상을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과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석법들의 문제점들을 비교 연구한다.
교정재료학 (Orthodontic Materials)
급변하는 교정재료들의 재료들의 물리적 특성 및 장단점을 비교 연구하여 임상진료에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도록 공부한다.
임상치료교정학 (Clinical Orthodontic Treatment)
다양한 진단자료를 종합 분석하는 능력을 발전시켜 부조화의 정도를 파악하고 올바른 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 치료에 체계적 접근을 유도한다.
구강보건의료학과
전공필수과목
임상치주보철학 (Clinical Periodontics and Prosthodontics)
치주질환과 보철치료와의 관계 및 치주치료 후의 보철 수복관계, 교정치료 전후의 치주처치 및 치주처치시의 교정의 이용, 치주 치료와 보존 치료와의 상호관계, 치주질환과 교합 및 교합조정술 등 기본 지식을 교육함으로써 전문가로써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임상구강악안면외과학 (Clinical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구강악안면외과학의 기본적 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환자 진단 및 치료 과정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아본다.
소아청소년 및 노인치과학 (Pediatric and Geriatric Dentistry)
소아치과학 분야에 대하여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향후 더욱 진보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학습한다.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강관련 의학의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노화에 따른 생물학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노인의 구강건강향상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구강질환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측두하악장애를 포함한 구강안면통증의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인구고령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염증성 또는 감염성 구강점막질환 및 구강건조증과 같은 타액선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알아본다.
보건통계학 (Biostatistics)
구강의학 분야의 각종 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각종 연구결과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통계학적인 기초 원리와 방법을 이해한다.
디지털의학 및 치의학 (Digital Medicine and Dentistry)
정보화 시대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컴퓨터프로그램 및 관련 장비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구강의학에서의 최신지견들과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는 법과 여러 디지털 기기들의 사용 및 관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임상술기 II (Clinical Skill II)
임상실무능력을 배양한다.
임상술기 III (Clinical Skill III)
고급 임상술기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선택과목
인체해부 및 병태생리 (Human Anatomy and Pathophysiology)
인체의 구조적 지식을 토대로 인체 내에 존재하는 각 기관의 작용, 기능, 그리고 항성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전에 관하여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원리를 이해한다. 구강 및 이와 관련된 구조의 삼차원적 상호관계의 이해를 위해서 머리와 목 부분의 육안적 구조와 구강 조직의 발생과 일반적 특징을 학습한다.
임상약리학 (Clinical Pharmacology)
생리학적 지식을 토대로 약물이 우리 몸에 작용하는 일반적인 기전 및 심장, 혈액, 호르몬, 신장 등에 작용하는 약물들을 학습 한다.
임상보존학 (Clinical Conservative Dentistry)
치아이상 및 치아 구조 결손을 이해하고 이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보존학 및 고정성의치학의 기초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선천성 및 후천성 치아이상, 비우식성 치아결손과 이를 치료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써 보존 및 보철치료시 기구사용법, 러버댐 사용법, 와동 및 지대치 형성과정, 인상채득 및 임시관, 포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건정책학(구강) (Public Health Policy ( Oral Health ))
보건정책의 개념을 학습하고 우리나라 구강보건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식견을 넓힘으로써, 향후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치과의사로서의 기본적 자질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임상예방치의학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구강병을 예방하는 임상예방치학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임플란트치의학 (Oral Implantology)
골유착성 구강 및 안면용 임플란트의 기초와 임상적 술식에 관해 학습한다. 임플란트의 기초적 지식, 가공 및 표면처리, 골조직 반응, 연조직 반응, 임플란트 영상학, 생역학, 다양한 증례별 치료계획, 수술 및 보철수복, 환자 추적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급치위생학 (Advanced Dental Hygiene Education)
본 교과목의 진행은 구강위생 이론과 지식에 대한 고급 지식축적을 위해, 관련문헌의 고찰과 토론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의 습득, 임상 실무에서의 적용 사례, 접목 가능한 연구 및 발전방향에 대한 토론으로 이루어진다.
역학 및 의료정보학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최신의 보건의료정보학 관련 논문을 공부하고, 보건의료 관련 관련 시스템 개발자의 강의를 통해 학생들이 보건의료 정보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할 수 있도록 한다.
병원행정 및 보험 (Hospital Administration and Health Insurance)
병원의 행정업무를 이해하고 병원원무에 필요한 의료보험 등의 기본적인 개념과 환자관리 등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이론적 개념과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임상술기 I (Clinical Skill I)
임상실무능력을 배양한다.
병원마케팅-의료질관리 (Hospital Marketting and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고 적사적인 활동을 통하여 충족시키는 방법을 다루는 것이 마케팅이다. 마케팅의 주요한 이론과 방법을 학습한다. 의료서비스의 질 평가, 개선 과제의 도출과 이를 기초로 의료의 질을 향상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학습한다.
보건교육-세계보건이슈 (Health Education and World Health Issues)
세계화 시대의 정보통신의 발달로 급변하게 직면하고 있는 보건문제를 알아보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세계보건이슈를 파악하고 활용하도록 한다.
최신연구방법론-임상시험 (Current Trends in Clincial Methodology and Clinical Trialis)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 논리적인 사고로 가설을 수립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그 가설을 검증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스스로 논문 주제를 정하여 향후 어떤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적인 논문 작성 방법을 습득케 한다.
스트레스관리-심리상담 (Stress Management and Psychosocial Counseling)
현대사회에서 최근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의 증가와 불안감, 긴장감, 집중력 감소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내용들에 대해 알아본다.
최신 구강관리용품론 (Modern oral care Products)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구강관리 용품의(Oral Care Products)의 현황, 신제품 개발 및 적용, 효능을 평가하는 국제규격과 같은 근거기반의 지식을 통해 생애주기별 구강관리용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알아본다.
초기우식증 관리 및 재광화 (Management of the early caries lesions and remineralization)
초기우식 증 진단을 위한 각종 진단 및 탐지 장비의 원리 및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초기우식 병소의 재광화를 위한 효율적인 처치방법들에 관한 최신 지견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