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보건학과
교과목 구분 | 교과목명 |
---|---|
전공필수 | 보건학개론, 역학의 기초, 보건학연구방법론, 보건통계학 |
전공선택 | 건강교육,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건강증진론, 노인보건, 만성병과 생활습관, 보건경제원론, 보건사업기획, 보건사회학, 보건심리학, 보건학 연구의 실제, 보건의료 법-정책-윤리, 보건의료법과 윤리, 보건의료서비스조직 관리, 보건의료의 질 관리, 보건의료정보학개론, 보건의료체계개론, 보건정책, 비판적 논문사독, 어린이 건강 세미나, 역학연구의 설계와 분석, 운동과 건강, 의료보장개론, 의료정책 및 관리세미나, 지역보건사업, 직업과 건강, 환경과 건강 |
논문과목 | 논문연구Ⅰ, 논문연구Ⅱ |
언어병리학과
교과목구분 | 교과목명 | |
---|---|---|
전공선택 | 이론중심 교과목 | 아동발달, 언어발달장애, 음성음운연구, 음성장애, 실험음성학, 언어와 학습장애, 언어 읽기 평가 및 중재, 고급 읽기 쓰기 평가 및 중재, 다문화와 의사소통, 자폐범주장애 언어재활, 지적장애 언어재활,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 구개열로 인한 말-언어장애, 신경언어장애, 유창성장애, 말운동장애, 삼킴장애, 보완대체의사소통, 뇌성마비 언어재활, 연구방법론, 통계의 이론 및 실습, 의사소통장애 진단평가, 언어재활 현장실무, 언어병리학세미나, 언어장애아 부모 및 가족 지원 |
사례중심 교과목 | 언어발달장애 사례연구, 음성장애 사례연구, 학령기 사례연구, 학령기 읽기 쓰기 사례연구, 자폐범주장애 언어재활 사례연구, 지적장애 언어재활 사례연구,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사례연구, 조음음운장애 사례연구, 신경언어장애 사례연구, 보완대체의사소통 사례연구 | |
보충과목 (비전공자) |
학부전공 개설 교과목을 우선적으로 수강하고, 학점 미달 시 전공선택에서 이수 가능 | |
논문과목 | 논문연구Ⅰ, 논문연구Ⅱ |
재활치료학과
전공 | 교과목 구분 | 교과목명 |
---|---|---|
공통과목 | 건강관리특론, 치료통계학, 임상해부학특론, 인간공학및재활, 장애아동의이해, 장애아동 진단 및 평가, 재활치료 연구방법 및 통계, 인체해부학 및 생리학개론, 신경과학 및 신경발달, 기능해부학, 임상운동학, 임상측정 및 평가, 근골격계재활치료특론, 신경계재활치료특론, 운동재활특론, 임상진단학특론, 재활치료사례분석 | |
물리치료학전공 | 전공선택 | 근골계물리치료특론, 물리치료연구세미나, 물리치료특론, 소아물리치료특론, 신경계물리치료특론, 연구지도I, 연구지도II, 임상연구세미나I, 재활공학, 통증물리치료특론, 노인재활치료특론, 생체역학, 운동기능 및 재활, 심폐물리치료학 특론 |
작업치료학전공 | 전공선택 | 노인작업치료특론, 복지용구공학, 연구지도III, 연구지도IV, 임상연구세미나II, 작업치료특론, 작업치료특수연구, 정신사회재활, 치료적 인체공학, 작업-융합론, 인지재활특론, 근거중심연하재활, 삼킴재활특론 |
운동재활학전공 | 전공선택 | 수중재활운동, 운동손상학, 운동손상기전 및 평가, 운동재활훈련 및 실습 |
논문과목 | 논문연구Ⅰ, 논문연구Ⅱ |
교과목 소개
보건학과
전공필수
G03353 | 보건학개론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건강의 개념 및 건강문제의 역학적 변천과정, 그리고 보건학의 과학적 기반에 대해 이해한다. 아울러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건학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접근방법과 이를 둘러싼 포괄적인 건강관리체계를 소개한다.
G03356 | 보건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Public Health)
보건 및 의학연구에서 연구가설의 생성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의 방법론적 타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설명한다. 개별 보건학 연구영역에서 사용하는 주요 연구방법론과 그 적용사례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도모한다.
G04016 | 보건통계학 (Health Statistics)
보건학 지식 습득과 연구를 위해 통계학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보건학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계적 문제들을 파악한다. 또한, 통계의 기초적인 원리와 기본 개념을 익히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제 보건 분야 자료를 입력, 분석하고 이를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G03354 | 역학의 기초 (Basic Epidemiology)
집단을 대상으로 질병 및 건강관련 사상의 분포를 기술한다는 역학적 연구의 기본원리와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역학적 가설을 규명하기 위한 분석 역학적 방법론을 다루고, 흡연, 음주, 식이, 그리고 운동과 같은 각종 생활습관과 주요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역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 소개한다.
전공선택
G03377 | 건강교육 (Health Education))
건강문제와 인간의 건강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강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그 접근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각기 자기분야에서 건강 교육적 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원리와 기술을 습득한다.
G91317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사회계층, 인종, 성별, 소득, 사회관계망, 지역 등 개인의 기본적인 사회적 조건이 어떤 기전을 통해 개인 및 인구 집단의 건강과 질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분석한다. 건강 불평등의 형성과정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절차에 대해 학습한다.
G03361 | 건강증진론 (Theory and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에 관한 주요 이론과 전략을 소개하고, 건강문제, 대상집단, 장소에 따라 적합한 건강증진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G90313 | 노인보건 (Health & Aged)
인구고령화에 따른 제반 보건문제를 논하고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관리 요구와 보건의료 이용양상을 확인하며, 노인보건과 노인복지를 위한 정책적 과제로서 포괄적 노인보건의료서비스 개발, 노인보건의료서비스 제공체계, 재원조달 등에 관하여 현행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토의한다. 노화로 인한 신체적, 기능적 변화와 인지적, 사회 심리적 문제를 살펴보고 노인의 주요 급·만성 건강문제에 따른 중재의 원리와 기술을 습득한다.
G03379 | 만성병과 생활습관 (Chronic Diseases and Life Style)
암, 심장병, 당뇨, 뇌졸중, 그리고 치매와 같은 우리나라 성인의 주요 사망원인이 되는 질병을 중심으로 이들의 역학적 특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역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함으로써 이들 질병의 예방적 지침 개발의 가능성을 소개한다.
G03365 | 보건경제원론 (Introduction to Health Economics)
보건의료서비스가 지니는 사회경제적 특성을 이해하고, 보건의료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건강보험제도, 보건의료서비스시장 등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조망한다. 또 보건의료서비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경제학적 방법들을 습득한다.
G03359 | 보건사업기획 (Planning and Evaluation of Health Programs)
보건사업에서 기획 및 평가의 필요성과 그 과정에 대해 공부한다.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에 관한 주요이론 및 방법을 소개하고, 국내·외의 사례연구와 보건사업계획의 작성 실습을 통해 기획 및 평가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G90260 | 보건사회학 (Health sociology)
건강과 질병, 보건의료에 적용하는 사회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을 배우고 건강과 보건의료 현상을 사회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방법을 익힌다.
G90259 | 보건심리학 (Health psychology)
심리적 요인과 신체적 고통 및 질병이 서로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건강의 유지와 증진,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심리학적 이론과 기법을 소개한다.
G90709 | 보건학 연구의 실제 (Practices in Health Research)
보건학 학위 논문이나 학술지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연구 방법론의 구체적 내용을 학습하고 연구 행정의 실무사항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계획서를 작성한다.
G90453 | 보건의료 법-정책-윤리 (Health Law, Policy and Ethics)
보건의료의 법, 정책, 윤리는 상호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법, 정책, 윤리의 일반 원칙에 대한 학습과 함께 공중보건의 주요문제와 관련하여 법, 정책, 윤리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고찰함으로써 국민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 법, 정책, 윤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G03367 | 보건의료법과 윤리 (Health Law and Ethics)
의료현장에서 접하는 의료윤리의 문제는 인간관계의 윤리, 삶과 죽음의 윤리, 의료자원의 분배에 관한 윤리의 문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의료윤리의 주요한 기본원칙들을 고찰하고, 관련 보건의료법규의 내용분석과 검토를 통해서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보건의료법의 역할분담과 향후 과제를 토의, 연구한다.
G03362 | 보건의료서비스조직 관리 (Management of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의료기관, 보건기관, 장기요양시설 등 보건의료서비스 조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조직을 대상으로 한 과학적 관리기법을 소개하고 보건의료조직을 둘러싼 환경과 내부여건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 집행,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G03882 | 보건의료의 질 관리 (Introduction to Quality in Health Care)
보건의료의 질 관리의 대두 배경과 역사를 이해하면서 보건의료 질의 개념, 질 평가와 관리의 접근 방법을 익힌다. 사례를 통해 보건의료 현장에서 적용되는 질 평가 및 관리 기법을 배우고 자신이 속한 보건의료 현장에서 질 문제를 정의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G03381 | 보건의료정보학개론 (Introduction to Health and Biomedical Informatics)
보건정보학개론은 보건학, 임상의학, 생명과학의 제반 문제해결을 위한 핵심적 방법론으로서의 정보기술과 정보과학을 다룬다. 의료정보의 모델링, 자료구조론, 의학증후학, 의학적 의사결정학, 의학용어 및 분류체계, 병원정보시스템, 전자의무기록,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정보시스템 평가, 원격의학, 정보의 보안, 암호화 및 비밀보장, 정보와 의료윤리에 이르는 보건의료정보의 개괄을 소개한다.
G03368 | 보건의료체계개론 (Introduction to Health System)
보건의료서비스의 특성을 이해하고, 보건의료체계의 목표와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보건의료제도의 기본유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조직화, 수급에 관련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한다.
G03358 | 보건정책 (Health Politics and Policy)
보건정책학의 일반적 원리를 소개하고,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등 정책과정 전반을 이해토록 한다. 의료보장, 의료자원공급, 의료이용, 의료의 질 보장 등으로 구분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정책현안을 접근성, 질, 비용, 규제와 시장 등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보건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G03385 | 비판적 논문사독 (Critical Reading Seminar)
보건의료연구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 연구의 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갖추어야 할 항목을 제시한다. 예제로 제시되는 연구논문의 비판적 사독과정을 통해 이들 항목을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G91021 | 어린이 건강 세미나 (Seminar in Child Health)
어린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생애주기 관점에서의 어린이의 성장과 발달, 국내외 어린이 건강과 관련한 정책과 중재 프로그램의 평가를 다룬다.
G03378 | 역학연구의 설계와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Epidemiologic Study)
개개 역학연구방법의 구체적 수행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비뚤림과 그 영향에 대해 학습한다. 아울러 각 역학연구에서 산출되는 관련성 지표의 계량적 특성을 소개한다.
G91022 | 운동과 건강 (Exercise and health)
일상생활 속 규칙적인 운동의 시작과 지속이 자신의 생리적,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으로도 좋은 Wellness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운동과 관련된 최신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참여자들로 하여금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자 역할에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G03364 | 의료보장개론 (Introduction to Health Care Financing)
의료보장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주요 국가의 의료보장 제도의 변천과정을 통해 의료보장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의료보장제도의 전개과정과 현안 문제 및 발전방향을 토의한다.
G03366 | 의료정책 및 관리세미나 (Seminars in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우리나라의 의료정책 및 관리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주요 쟁점을 조사하고 다양한 해결방안들을 고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정책 및 관리방안을 모색한다.
G03360 | 지역보건사업 (Community Health Program)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보건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특징,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발전과정, 지역사회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주요 방법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주요 지역보건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G03387 | 직업과 건강 (Occupation and health)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건강과 작업환경 실태를 이해하고, 산업보건의 역사적 흐름에 대하여 고찰하며, 직업과 관련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보건관리, 작업환경관리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현재 산업보건학과 관련된 제 영역의 실태와 각 부문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해서도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G03386 | 환경과 건강 (G03386)
환경보건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및 범위 등을 다루고, 환경오염의 원인과 영향, 개선책에 대하여 공부하며 이러한 환경오염이 생태계와 인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해함으로써,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 강좌를 통해 현재 환경보건이 포괄하고 있는 관련 영역의 실태와 각 부문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해서도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논문과목
G00101 | 논문연구 Ⅰ(Dissertation Seminar Ⅰ)
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보건의료관련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논문작성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서, 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지도를 받는다.
G00102 | 논문연구Ⅱ(Dissertation Seminar Ⅱ)
작성된 논문계획을 실제 진행시켜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논문의 수정보완과 지도를 받는다.
언어병리학과
전공선택
G90760-1 | 고급 읽기 쓰기 평가 및 중재 (Advanced reading and writing assesment and intervention)
읽기이해와 작문을 중심으로 읽기 쓰기 능력을 평가하고 중재하는 방법을 익힌다.
G90298-1 | 구개열로 인한 말-언어장애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related to cleft palate)
선천적인 안면기형인 구개열과 관련된 해부학 및 생리학, 태생학적인 내용과 수술 외과정 치료 접근법에 대해 학습하고 구개열로 인한 말-언어장애의 유형 및 평가법과 치료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G90542-2 | 뇌성마비 언어재활 (Communication disorders related to cerebral palsy)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와 관련된 기본 지식과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방법과 관련 기술을 익힌다.
G04008-2 | 다문화와 의사소통 (Multicultural issues and communication)
다문화 가정 및 아동의 발달 특성을 말 언어를 중심으로 살핀다. 언어치료사와 언어병리학 입장에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서비스 제공 능력을 익힌다.
G90761-1 | 말운동장애 (Motor Speech Disorders)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관련 구조의 병리현상으로 발생되는 말운동장애의 원인과 증상을 감별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한다.
G04012-1 | 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말을 통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의사소통장애인을 위한 보완적이며 대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살피며 AAC 체계, 상징, 어휘선택 고정에 대해서 배운다.
G90773-1 | 보완대체의사소통 사례연구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ase study)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90762-1 | 삼킴장애 (Swallowing Disorders)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관련 구조의 병리현상으로 발생되는 삼킴장애의 원인과 증상을 감별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한다.
G02194-3 | 신경언어장애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병리현상으로 발생되는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을 감별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한다.
G90772-1 | 신경언어장애 사례연구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Case study)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병리현상으로 발생되는 성인 언어장애와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03244-1 | 실험음성학 (Experimental Phonetics)
개별음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음성분석기를 이용한 정상인과 장애인의 음성을 비교·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G90756-1 | 아동발달 (Child Development)
유아 및 아동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제반특성을 이해한다.
G90759-1 | 언어 읽기 평가 및 중재 (Language based read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단어해독과 읽기유창성 및 철자능력을 중심으로 읽기장애를 평가하고 중재하는 방법을 익힌다.
G02193-3 | 언어발달장애 (Child Language Disorders)
아동 언어에 대한 기본이해를 바탕으로 언어 발달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언어장애현상을 이해하며, 이에 대한 진단평가방법과 치료교육방법을 익힌다. 언어발달장애와 관련한 연구방법을 소개 받는다.
G90764-1 | 언어발달장애 사례연구 (Case studies of child language disorder)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사례를 직간접으로 경험하고 임상 적용 능력을 익힌다.
G03215-1 | 언어병리학세미나 (Seminar in Speech Pathology)
국내외 언어병리학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학회 및 기관의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기술을 익히고, 미래의 국내외 언어병리학 방향을 토론한다. 한편 정상적 의사소통흐름에 관한 연구주제들을 살피고, 의사소통장애를 진단·치료하거나 연구하는 최근의 방법이나 논제를 소개받고 이에 관해 논한다.
G90758-1 | 언어와 학습장애 (Language and Learning Disability)
학령기 언어와 학습, 그리고 학습장애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학습장애 진단평가와 중재의 기초를 익힌다.
G91088 | 언어장애아 부모 및 가족 지원 (Parents and family support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언어장애아 부모와 가족이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과정과 문제를 이해하고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치료 교육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지원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G90338-3 | 언어재활 현장실무 (Case management in SLP)
언어병리학 전반에 걸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직간접적인 사례 관찰과 임상현장 연계를 통해 언어치료사 직무능력을 키운다.
G90763-1 | 연구방법론 (Research in Communication disorders)
언어병리학 연구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G90271-1 |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of infants and toddlers)
영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0-3세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에 대해 고찰하고, 그에 대한 평가 및 중재 과정을 살펴본다.
G90770-1 |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사례연구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of Infants and toddlers : Case study)
영유아 의사소통장애와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02197-3 | 유창성장애 (Fluency Disorders)
구어 유창성에 결함을 나타내는 속화(cluttering)와 말더듬(stuttering)에 대하여 원인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치료 접근법들을 비교·비판하고 환자특성에 따른 치료접근법을 토의한다.
G90757-1 | 음성음운연구 (Studies in Phonetics and Phonology)
음성과 음운에 대한 본질, 음절의 구조, 음성전사와 음운전사, 음운의 변별자질, 음운규칙의 표면구조와 심층구조, 음운규칙의 발견을 이해함으로써 음성과 언어연구의 기초를 닦는다.
G02195-3 | 음성장애 (Voice Disorder)
성대질환 등으로 인한 기질적인 발성장애와 성대의 오·남용으로 인한 기능적인 발성장애에 관한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G90765-1 | 음성장애 사례연구 (Voice Disorder: Case study)
음성장애와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90575-3 | 의사소통장애 진단평가 (Disagnosis and Assessment in Communication Disorders)
의사소통장애 유형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과 절차를 익히고 다양한 검사 도구에 대해 학습해 의사소통장애 평가 및 진단능력을 향상시킨다.
G04009-2 | 자폐범주장애언어재활 (Communication disorder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범주성장애의 개념 및 일반적 행동 특성과 의사소통적 특성을 이해하고 의사소통 평가 및 중재에 대한 과정과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G90768-1 | 자폐범주장애 언어재활 사례연구 (Communication disorder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s: Case study)
자폐범주장애와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02173-4 | 조음음운장애 (Articulation Disorder)
기질적 또는 발달성 조음장애의 진단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고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G90771-1 | 조음음운장애 사례연구 (Articulation Disorder: Case study)
조음음운장애와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04010-2 | 지적장애 언어재활 (Communication disorders related to mental retardation)
지적장애의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 배우고 지적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상의 문제를 진단하는 법과 중재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G90769-1 | 지적장애 언어재활 사례연구 (Communication Disorders Related to Mental Retardation: Case study)
지적장애와 관련한 평가 및 중재방법을 탐구하여 사례운용능력을 익힌다.
G02174-2 | 통계의 이론 및 실습 (Statistics: Theories & Practice))
통계학의 기초적인 방법론을 습득하고,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결과분석의 기법을 익힌다.
G90766-1 | 학령기 사례연구 (Case studie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school)
학령기 다양한 언어장애 사례를 최신 이슈와 함께 경험하고, 현장실무 능력을 증진한다.
G90767-1 | 학령기 읽기 쓰기 사례연구 (Case studies of children with reading and writing difficulties)
다양한 학령기 난독 아동 사례를 직간접으로 경험하고 임상 적용 능력을 키운다.
논문과목
G00101-1 | 논문연구 Ⅰ(Dissertation Seminar Ⅰ)
학위논문의 구상, 자료수집, 실험, 통계 및 그래픽처리, 집필 등에 대하여 지도교수로부터 개별지도를 받는다.
G00102-1 | 논문연구Ⅱ(Dissertation Seminar Ⅱ)
지도교수로부터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논문의 체제와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첨삭지도를 받는다.
재활치료학과
공통과목
G90306 | 건강관리 특론 (Research Methods on Health Care)
마사지, 테이핑, 심폐소생술 등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하는 시대상에 발맞추어 건강관리 방법을 익힌다.
G91058 | 근골격계재활치료특론 (Advance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Therapy)
근골격계 질환의 임상적특징과 원인에 대해 연구하고 근거에 기반한 재활치료 중재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G91055 | 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인체의 뼈, 관절, 근육을 이해하고 인체움직임을 연구하여 이를 적용하여 평가나 중재에 응용합니다.
G91059 | 신경계재활치료특론 (Advanced nervous system rehabilitation)
신경계 질환의 임상적특징과 원인에 대해 연구하고 근거에 기반한 재활치료 중재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G91054 | 신경과학 및 신경발달 (Neuroscience & Neurodevelopment)
신경계의 발생과 구성, 신경생리의 원리를 이해하고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특성과 기전에 대해 연구하여 신경발달에 근거한 재활치료를 개발한다.
G91060 | 운동재활특론 (Advanced exercise rhabilitation)
이론적 재활지식을 습득할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된 최근 재활연구의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재활에 있어 이론적 지식이 전문적인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임상적 경험과 기술을 가지고 재활지식과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G04047 | 인간공학 및 재활 (Ergonomics & Rehabilitation)
인간공학의 개념, 인체측정 및 생체역학, 산업의학,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을 위한 예방관리, 유해요인 평가, 인간공학측면을 고려한 고령친화용품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G91053 | 인체해부학 및 생리학개론 (Introduction to Human Anatomy & Physiology)
인체의 구조를 밝히는 해부학과 인체의 기능을 규명하는 생리학은 기초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학문으로 인체의 기본적인 구조와 그에 따른 기능과 기전을 학습한다.
G90276 | 임상 해부학 특론 (Advanced Clinic Anatomy)
인체의 각 부위와 기관별로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다.
G91056 | 임상운동학 (Clinical Kinesiology)
재활분야의 기초학문인 임상운동학은 운동역학, 운동형상학, 기능해부학으로 구성되어 앞으로 연구해야할 분야 및 환자 치료에 대한 다양한 관점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연구합니다.
G91061 | 임상진단학특론 (Advanced Clinical Evaluation)
물리치료와 진단을 위해 각종 검사 및 근력검사, 관절가동범위 검사, 각종 측정법과 반사검사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
G91057 | 임상측정 및 평가 (Clinical Measurement & Evaluation)
임상적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여러가지 생리학적, 병리학적 현상들이 나타나는 기전과 형태, 임상적 의의를 바탕으로 재활치료분야와 관련성이 높은 신체계통별 평가법을 학습한다. 특히, 아동, 신경계 및 근골격계 환자와 관련된 임상적 평가에 대해 학습한다.
G90998 | 장애아동 진단 및 평가 (Diagnosis and assessment of handicapped children)
장애아동의 진단 및 평가를 유형별로 살피고,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식과 경험을 실제를 통해 익힌다.
G90997 | 장애아동의이해 (Understanding handicapped and challenged children)
장애아동의 심리발달적 특성을 다양한 장애유형과 함께 이해하고,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G91052 | 재활치료 연구방법 및 통계 (Research Methodology & Statistics of Rehabilitation Therapy)
재활치료 분야의 연구설계, 통계의 이해, 통계의 적용등 실제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과 전공별 학술지 검색 활용법등을 학습하여 연구자로 하역금 실질적인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G91062 | 재활치료사례분석 (Analysis of case Rehabilitation therapy)
재활치료 대상자들에 대해 최신 중재들을 적용한 다양한 연구 사례들을 알아보고, 각각의 연구사례들의 강점, 미비점 및 보완사항들을 학습하고 토론한다.
G90305 | 치료통계학 (Statistics of Treatment)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분야의 연구설계 및 실험결과의 분석방법을 배우고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처리방법을 습득한다.
물리치료학전공 교과목
G90307 | 근골계 물리치료 특론 (Advanced Musculoskeletal Physical therapy)
근골격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방법들을 학습한다.
G91063 | 노인재활치료특론 (Advanced Geriatric Rehabilitation therapy)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들이 갖는 해부학적 변화와 사회 심리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질환에 대한 작업치료의 최신 이론과 임상적 치료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G90308 | 물리치료 연구 세미나 (Seminar in Physical Therapy Research)
물리치료의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하여 발표 및 토의한다.
G04020 | 물리치료 특론 (Advanced Physical Therapy)
물리치료 분야의 평가방법과 치료계획, 임상적 응용 등 전반에 관한 최신 이론을 토의한다.
G91064 | 생체역학 (Biomechanics)
인체의 각 부분의 움직임과 역학적 관계에 대한 분석을 연구한다.
G90274 | 소아물리치료특론 (Advanced Pediatric Physical Therapy)
소아 보바스 및 보이타 치료원리 등 자료에 근거하여 진단 및 치료 등을 토의한다.
G90257 | 신경계 물리치료 특론 (Advanced Neurologic Physical Therapy)
보바스 및 PNF 치료원리 등 자료에 근거하여 진단 및 치료 등을 토의한다.
G91066 | 심폐물리치료학 특론 (Advanced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심장호흡계 질환에 있어서 임상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검사 평가와 중재방법을 이해하고 근거에 기초한 임상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G90292 | 연구지도 Ⅰ (Research DirectionⅠ)
최신 물리치료 논문에 대한 발표수업과 토론을 통해 원생들이 쓰고자 하는 논문 주제에 대한 식견을 수립하거나 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해 지도를 받는다.
G04048 | 연구지도 Ⅱ (Research Direction Ⅱ)
연구방법론의 종류를 소개하며, 실험 연구와 설계, 논의 그리고 유효성, 타당성 등을 학습한다.
G91065 | 운동기능 및 재활 (Movement Function & Rehabilitation)
신체의 상.하지의 움직임과 관련된 근신경계 조절에 대한 이해한다. 움직임 저하와 기능에 대한 평가와 재활을 통한 임상적 적용을 통한 운동손상 예방과 재활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한다.
G90309 | 임상연구 세미나 Ⅰ (Seminar in Clinical research Ⅰ)
물리치료 질환별 사례(case report)에 대하여 그룹별 평가와 치료방법들을 발표를 한다.
G04052 | 재활공학 (Rehabilitation Technologics)
노인 및 신체장애자의 일상생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용구 및 이들의 기능 훈련을 위한 용구, 보장구 등을 소개한다.
G90311 | 통증물리치료 특론 (Advanced Physical therapy for Pain)
목, 허리, 등, 턱, 측만증, 컴퓨터와 관련된 통증에 대하여 통증 원인을 제거하는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습득한다.
작업치료학전공 교과목
G91069 | 근거중심연하재활 (Advanced swallowing rehabilitation)
근거에 입각하여 다양한 치료적 접근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고 연하재활치료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G04049 | 노인작업치료 특론 (Advanced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노화 및 기능 장애로 인한 노인 질환의 특성 및 특징을 이해하고 질환에 따른 작업치료적 최신방법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G90196 | 복지용구공학 (Welfare goods Technology)
복지용구에 관한 인체 역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사용방법 등을 습득한다.
G91070 | 삼킴재활특론 (Advanced swallowing rehabilitation)
삼킴과 관련된 신경생리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재활을 위한 평가 및 최신 치료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G90216 | 연구지도 Ⅲ (Research Direction Ⅲ)
최신 작업치료 논문에 대한 발표수업과 토론을 통해 원생들이 쓰고자 하는 논문 주제에 대한 식견을 수립하거나 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해 지도를 받는다.
G90291 | 연구지도 Ⅳ (Research Direction Ⅳ)
지도교수의 개인별 지도하에 작업치료분야의 이론 개발이나 임상연구를 심도 있게 수행함으로써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G91068 | 인지재활특론 (Advanced cognitive rehabilitation)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른 인지 기능의 차이를 이해하고 인지 손상에 따른 이상행동과 참여의 제한을 분석하여 과학적 작업이론과 근거기반중재이론을 토대로 작업치료에 적용하는 것을 연구한다.
G90310 | 임상연구 세미나 Ⅱ (Seminar in Clinical research Ⅱ)
작업치료 질환별 사례(case report)에 대하여 그룹별 평가와 치료방법들을 발표한다.
G91067 | 작업-융합론 (Occupation-Convergence)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는 시대에 작업의 학문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타 학문과의 융합 가능성을 예측하고 연구하여 미래 작업치료의 융합 가치를 창출하는 교과이다.
G04021 | 작업치료 특론 (Advanced 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 분야의 평가방법과 치료계획, 임상적 응용 등 전반에 관한 최신 이론을 토의한다.
G90280 | 작업치료특수연구 (Occupational Therapy Special Research)
작업치료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임상적 지식의 접목이 가능하도록 한다.
G90285 | 정신사회재활 (Psychosocial Rehabilitation)
정신사회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위한 작업치료적 평가와 치료에 관한 학습과 최신경향을 토의한다.
G90256 | 치료적 인체공학 (Therapeutic Ergonomics)
인간과 환경, 주거시설, 기계 사이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과목으로 인체측정 및 생체역학, 산업의학 등의 내용을 연구하며 주로 작업장에서의 환경평가와 직무자세 평가, 장애인이나 노약자관련 편의시설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운동재활학전공 교과목
G91132< | 수중재활운동 (Aqua Rehabilitation Exercise)
수중재활운동은 수중운동과 물리치료가 결합된 형태로 어떤 질병이나 사고 또는 내재적인 손상으로 인하여 신체적(근골격계, 순환계, 신경계), 정신적, 정서적으로 비정상적인 패턴들을 물의 특성(수압, 수온, 저항, 부력)을 이용한 여러 가지 수중기법(WATSU, Bad, Ragaz Ring Method, Halliwik, Ai chi etc)들을 통하여 정상패턴으로 또는 증진
G91133< | 운동손상학 (Theory of Exercise Injuries)
본 교과목은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중 발생된 손상의 재활운동의 기초 원리를 이해하고, 각 부위별 스포츠손상 발생원인 및 재활운동법의 습득함으로써 현장에서 스포츠손상 예방 및 재활운
G91134< | 운동손상 기전 및 평가 (Pathology & Evaluation of Exercise Injuries)
본 교과목은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중 발생된 손상 기전에 대한 기초 원리를 알고 스포츠 종목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부상의 기전을 이해하며, 부위별 적절한 처치를 위해 부상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운동손상 평가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운동손상 예방 및 재활운동의 전문가적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표가 있다.
G91135< | 운동재활훈련 및 실습 (Exercis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Lab)
본 교과목에서는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중 발생될 수 있는 상해를 예방하고 상해 후 빠른 복귀를 위한 재활운동의 기본 원리를 습득하고 운동법에 대한 기술을 실습을 통해 습득함으로써 재활운동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운동 소도구(Prop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ing)를 이용하여 통증감소, 근력, 움직임, 지구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재활운동 전문가로서의 기초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논문과목
G00101 | 논문연구 Ⅰ(Dissertation Seminar Ⅰ)
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보건의료관련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논문작성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서, 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관한 지도를 받는다.
G00102 | 논문연구Ⅱ(Dissertation Seminar Ⅱ)
작성된 논문계획을 실제 진행시켜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논문의 수정보완과 지도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