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연구』 투고 요령
1. 원고작성
- 1원고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국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2원고는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한글 97 이상 버전으로 한 개의 파일로 작성하여, 파일 디스켓과 프린트본을 동시에 제출한다.
- 3모든 표는 지정된 위치에 원고파일에 포함하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 별도의 파일이나 도면을 사용해야 할 경우 프린트 본에 그 위치 및 형태를 알기 쉽게 붉은 색으로 표시한다.
2. 문장부호 및 주석
- 1장, 절, 항 등의 표시는 1, 1), (1), 가의 순으로 한다.
- 2주석은 워드프로세서 각주 방식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한 논문 당 일련번호를 붙인다.
- 3〈 〉은 그림(화)명, 도명, 악곡명, 지도명, 설화명 등을 뜻하며, 『』은 서적명, 총서명, 원전, 단행본 등을 뜻하며, 「 」은 글명, 논문명, 편명 등을 뜻하며, ‘ ’은 강조, “ ”은 직접인용 또는 대화문, 속담 등에 쓰인다.
- 4〔 〕은 번역문 뒤에 오는 원문을 표기할 때 쓴다.
- 5밑줄이나 강조의 의미는 고딕으로 바꿔 사용한다.
- 6서지 정보 나열순서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서적일 경우: 저자(역자), 「글」, 편자, 『서적』(출판사명, 출판년도), 쪽수.
김재환, 『제프리 초서의 문학세계』(소화, 2002), 69쪽.
오춘택, 「소양정의 시문과 춘천문화」,『아시아문화』제18호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2002), pp.102-103.
남근우, 「생사관의 정치학」,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엮음, 『동아시아 기층문화에 나타난 죽음과 삶』(민속원, 2001)
(2) 국외서적일 경우: 저자(역자), “글(논문)”, 편자, 서적,잡지(이탤릭), 출판장소: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John Guillory, “Canon”, in Frank Lentricchia and Thomas Mclaughlin, eds., Critical Terms for Literary Stud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pp. 102-105.
- 7고서의 서지 사항의 나열순서는 『서적명』, 「편명」, 「글명」, 「글명」 … 의 순으로 한다.
John Guillory, “Canon”, in Frank Lentricchia and Thomas Mclaughlin, eds., Critical Terms for Literary Stud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pp. 102-105.
- 8약식주석인, 위의 책(글, 논문)과 앞의 책(글, 논문)을 상황에 맞게 통일한다.
(1) 위의 책(글, 논문) : 바로 앞 번호 각주에 쓰인 동일한 서지 사항 (Ibid., 쪽수)
(2) 앞의 책(글, 논문) : 한 각주번호 이상을 건너뛴 각주에서 쓰인 동일한 서지 사항 (op. cit., 저자명, 쪽수)
(3) 같은 책(글, 논문) : 한 각주 안에서 똑같은 서지 사항을 표현할 때 (Loc. cit.)
3. 원고마감
- 해당 연도에 간행되는 『인문학연구』에 개재될 논문은 그해 2월 말까지 제출되어야 한다.
4. 원고접수처
- 우편 : 200-702
- 주소 : 강원도 춘천시 한림대학길 39,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편집위원회
- 전화 : 033) 248-3210
- e-mail : de3210@hallym.ac.kr
논문의 심사 및 게재 원칙
- 1논문 1편당 해당 전공 분야의 전문가 2인을 심사 위원으로 위촉한다.
- 2각 심사 위원 명단은 대외비로 하고, 심사 위원에게 배부되는 원고는 익명으로 한다.
- 3각 심사 위원은,
(1) 논문의 창의성,
(2) 서술의 논리성,
(3) 논변의 타당성,
(4) 표현의 정확성 및 문장력,
(5)연구준비의 성실성과 관련 문헌 숙지도의 5개 기준에 대하여 각 항목당 10점 만점으로 채점하고, 종합 평가 의견을 별도로 서술한다. - 4편집위원장은 평가서를 수거하여 각 논문의 평점을 산정한다.
- 5편집위원회는 게재 가능한 논문의 합격선을 결정한다(편집위원은 교수들에 국한되지 않고 대외적으로 개방한다).
- 6합격된 논문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성적순에 따라서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교정주의 사항
- 1< >은 그림(화)명 · 도명 · 악곡명 · 지도 · 설화명··· 등을 뜻하며, 『』은 서적명 · 총서명 · 원전 · 단행본 · 신문명 · 악보명 · 음반··· 등을 뜻하며, 「」은 글명 · 논문명 · 편명 · 조명 · 기사명··· 등을 뜻하며, ‘’은 강조, “”은 직접인용 또는 대화문 · 속담 등에 쓰인다.
- 2{ }은 번역문 뒤에 오는 원문을 표기할 때 쓴다. 예) 번역문 .{원문}
- 3밑줄이나 강조의 의미는 고딕으로 바꿔 사용.
- 4서지정보 나열순서
- 1국내서적일 경우 : 저자명(역자명), 「글명(논문명)」, 편자명, 『서적명』(『총서명』, 출판사명, 년도), 쪽수.
- 2외국서적일 경우 : 저자명(역자명), “글명(논문명)”, 편자명, 서적명(이탤릭체), 출판사명, 년도, 쪽수.
- 5위의 책(글, 논문)과 앞의 책(글, 논문)을 상황에 맞게 통일.
- 1위의 책(글, 논문) : 바로 앞 번호 각주에 쓰인 동일한 서지사항
▸ 저자명, 위의 책, 쪽수. - 2앞의 책(글, 논문) : 한 각주번호 이상을 건너뛴 각주에서 쓰인 동일한 서지사항
▸저자명, 「논문제목」, 앞의 책(년도), 쪽수. - 3같은 책(글, 논문) : 한 각주 안에서 똑같은 서지사항을 표현할 때
▸(같은 책, 쪽수) - 4각 장(Chapter)이 바뀌었을 경우 앞의 책(글, 논문), 위의 책(글, 논문)은 밝혀 적을 것.
- 1위의 책(글, 논문) : 바로 앞 번호 각주에 쓰인 동일한 서지사항
- 6국내 서적은 ‘면’→‘쪽’, 영문화권의 외국서적은 page의 약자 p로, 동양권의 서적(한자, 일어)는 ‘면’→‘面’으로 통일시킨다.
- 7‘ ’ 은 강조사항 및 “ ” 안의 “ ”을 대체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 8“"은 직접 인용이나 대화에서 사용한다.
- 9맞춤법이나 띄어쓰기 등은 국어사전을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