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미래사회 글로벌 인재의 요람
목표
BT-NT-IT 융합신소재 기술 창출 및 인재 양성
-
창의성과 전문성 갖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
지식창조경제를
견인하는
지역연구 중심 -
글로벌
한림 네트워크
구축
-
교육
- 창의적 인재육성
- 융합신소재 전문가 양성
- 교육인적 역량강화
-
연구
- 연구수월성 제고
- 혁신 및 기업가 정신
- 선도적 융합과제 발굴
-
협력
- 한림 네트워크 활성화
- 지역 산업체 기술지원
- 다양한 글로벌 협력
융합신소재공학전공 전망
바이오헬스 분야의 전망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일자리: 2013년 11만3000명 → 2017년 14만4000명 (연평균 5.6% 증가)
-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연평균 고용증가율: 0.8% → 바이오헬스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교육특성화
특성화 분야
미래융합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목표
BT-NT-IT 융합기술기반의 미래융합 신소재 산업의 핵심기술 인력 양성
융합신소재공학
-
바이오 신소재
- 나노-유전체 전달/치료물질
- 생체조직재생
- 인공관절/인공치아
- 줄기세포 분화 베이스 콤플렉스
- 나노-바이오소자
- 3D 프린팅
- 신경계 인터페이스
-
고분자 신소재
- 고분자 소재의 이해
- 플렉시블전자소재
- 생체 친화형 고분자 신소재
- 나노기공필터 신소재
- 기능성 고분자신소재
- 바이오멤스용 고분자 신소재
- 고분자 무기소재접합
-
나노 신소재
- 금속/세라믹 소재의 이해
- 나노입자, 와이어, 나노튜브
- 그래핀 합성
- 유무기 하이브리드
- 디스플레이용 투명 신소재
- 나노금속촉매신소재
- 소프트 나노소재
-
신소재 공정
- CMOS 공정
- 표면개질
- 플렉시블 전자회로
- 미세유체제어 멤스
- 자연모사
- 나노 임프린트
- 3D고조체기공 나노에너지소자
- 나노패터닝
전공 역량(CEP) 트랙 학점
- 전공 이수학점과 별개로 역량별 트랙 운영
- 실무형 산업체 트랙과 연구형 R&D트랙 운영을 통한 맞춤형 인재 교육
- 역량별 트랙 이수 시 역량졸업인증

소자 공정 실험 실습
다양한 공정 실험 실습을 통한 실무형 미래사회 글로벌 인재 육성

연구 특성화
미래 융합 의료기기 구현
- 체외 현장진단 기기
- 인체삽입형 진단치료기기
- 인공장기
|
|
|
|
|
|
외부 연구비 수행 현황
- 적극적 외부 연구비 수주를 통한 연구 증대 및 실험 실습 강화
- BK21+,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 집단연구과제 수주를 통한 연구환경 조성
과제명 | 연구책임자 | 총연구기간 | 총 연구비(백만원) | 지원기관 |
---|---|---|---|---|
총 계 | 5,085 | |||
신개념 휴대형 인공신장용 요독분해 바이오필터 및 요독 검출 바이오센서 개발 | 성건용 교수 | 2014.06 ~ 2019.04 | 900 | 보건복지부 |
3D 프린팅 기반 휴먼온어칩 융합연구실 사업 | 성건용 교수 | 2015.09 ~ 2020.02 | 2,25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대장균 표면발현 기술을 이용한 고감도 마이크로플루이딕 기반의 전기화학발광 바이오센서 개발 | 박민 조교수 | 2016.11 ~ 2019.10 | 15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Biomimetic hydrogel 4D 프린팅 원천 기술 개발 |
박찬흠 교수 | 2016.12 ~ 2020.11 | 9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창상 치유 및 급속 지혈 효과를 가진 광경화성 지혈제 개발 기획연구 |
박찬흠 교수 | 2018.04 ~ 2018.07 | 4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복합 3D 프린팅 후두 지지체 개발 및 동물 모델 검증 |
박찬흠 교수 | 2017.04 ~ 2019.12 | 550 | 보건복지부 |
후두 재생용 복합 3D 프린팅 바이오 잉크 개발 | 김순희 조교수 | 2017.04 ~ 2019.12 | 275 | 보건복지부 |
융합 신소재 연구 활성화
전공교수진들과의 공동연구 활성화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사업 수행중
(연구책임자 : 성건용 교수, 공동연구원 : 박찬흠 교수, 총 연구비 22.5억원) - 신소재/의학/환경생명 분야 교수진 간의 포스트 BK21 + 집단과제 준비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