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배경
전 세계적 고령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의약산업은 미래 핵심 전략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는 반면, 국내 산업을 선도해 나갈 인력 배출을 위한 전문 교육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을 선도해 나가기에 부족한 실정
비전
R&D 개발, 비임상/임상 실험, 의약품 생산/시설/품질 관리, 의약품 인허가, 마케팅 등의 미래 의약산업을 이끌어 갈 전문 인력 배출
미션
R&D 개발, 비임상/임상 실험, 의약품 생산/시설/품질 관리, 의약품 인허가, 마케팅 등의 미래 의약산업을 이끌어 갈 전문 인력 배출

졸업 후 진로 및 업무

-
진로
- 화장품 및 식품회사
- 바이오기업 및 의약품 유통 및 마케팅 전문 기업
- 국공립 연구기관 및 의약품 특허 및 인허가 관련 기관
- 의약품 컨설팅 및 제약회사
- 비임상 및 임상서비스 CRO
- 바이오벤처 창업 등
-
업무
- 연구개발 (R&기획, 후보물질 발굴, 비임상 및 임상 실험)
- 의약품 허가 (특허 및 인허가 관리)
- 생산관리 (제조, 설비, 품질 관리)
- 마케팅 (기술사업화, 기술영업, 유통관리)
- 의약품 개발 전문 컨설팅 등
발전방안

세부추진방안
교과과정 운영
- 1의약품 산업 관련 현장 실무형 전문 교육을 위한 신규 강좌 개발
- 의약산업계 출신의 전문 강의전담교수 채용 및 산업계의 겸임 교수를 활용
- 산업계의 needs를 반영한 실무형 강의 개발
예 ) 제약산업학, 의약통계학, 제제공학, 의약품 품질과학, 특허 및 제약 마케팅, 의약품 안전 및 규제과학
- 2캡스톤디자인 및 현장실습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전임상/임상 실험 디자인, 의약품 생산/GMP 관리 프로토콜 수립, 의약품 인허가 관련 파일링, 글로벌의약품 수요 조사 등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수행
- 바이오시밀러 및 제네릭 전문기업, 전임상/임상 CRO, K-Bio 등 전문 기업과 MOU 체결을 통한 체계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 3의약신소재 과정 내 비전공 학생들을 위한 융합형 개론 강좌 개발
- 생명 관련 비전공 복수전공자들의 이해 증진과 학생 유치를 위한 개론 강좌 개발
예 ) 인체질환의이해(I,II), 의약학산업전문가특강(I,II)
- 생명 관련 비전공 복수전공자들의 이해 증진과 학생 유치를 위한 개론 강좌 개발
- 4진로지도 및 교육 인프라 확충
- 부전공에 따른 맞춤형 진로 지도
- 외부 전문가 특강을 활용한 취업정보 제공
- 의약신소재 전공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실 확보 및 프로젝트 동아리 개설

실험실습을 위한 장비 구축
- 제네릭 의약품 합성 및 바이오시밀러 생산 실습을 위한 실습실 및 관련 장비
- 동성 및 약물동태학 실습을 위한 동물실험 공간 및 설비
- 의약신소재 전공 학생 프로젝트 수행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컴퓨터 확보
산학연계 체제 확립
- 의약산업체와 현장 실습을 위한 MOU 체결 및 프로그램 개발
- 의약품 소재 관련 산업체와 정부사업수주를 통한 공동 연구
- 의약산업체 및 정부기관 전문가 겸임교수 리크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