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학이란?
생물로서의 인간이 아니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중시하여 연구하는 학문. 의학의 한 분야이다. 병에 걸리기 쉬운 사회 환경이나 생활 조건을 없애려는 데 중점을 두며, 공중위생·농촌 의학·예방 의학·사회 의료 운동 따위에 관심을 둔다.
- 표준국어대사전
The practice of medicine concerned with health and disease as a function of group living. Social medicine is concerned with the health of people in relation to their behavior in social groups; as such, it involves care of the individual patient as a member of a family and of other significant groups in everyday life. It is also concerned with the health of these groups and with that of the whole community.
- A dictionary of epidemiology, 6th edition
Rudolf Virchow 등의 독일 보건의료 개혁가들은 사회의학의 학문적, 실천적 측면에 대하여 기본 원칙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1) 건강은 사회적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과제이며, 사회는 구성원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보장할 의무가 있다. (2) 사회적, 경제적 여건이 건강과 질병,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하므로 그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3) 사회는 건강증진과 질병관리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의학적 수단과 더불어 사회적 수단도 동원해야 한다. 이 원칙들은 오랜 기간 상이한 사회와 여건에 적용되는 과정에서도 근원적 변화 없이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다.
- 사회의학의 기원, 진화 및 한국 사회의학의 실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