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재활사의 수요 증가로 인한 취업 기회의 확대
언어재활사는 영아기부터 노인기까지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직업으로서 2024년 미국에서는 가장 선호되는 Best Healthcare Jobs Top 3에 랭크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 국내외 각종 기관에서는 언어장애인을 전 인구의 5~10%(최소 200만명 이상)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의사소통장애 중재를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언어재활사에 대한 많은 수요가 있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점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영아기(0~3세) 발달장애 지원 정책으로 인한 언어재활사 수요 증가
- 학령전기 및 학령기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 범주성 장애, 뇌병변 장애, 청각장애 등)의 약 70% 이상이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동반
- 급증하는 성인 및 노인성장애(뇌졸중, 치매 등) 약 50% 내외가 말-언어장애 동반
- 국제결혼에 따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경우 최소 50%이상이 언어문제 동반
2024년 기준 최근 3년 평균 취업률 80.2%로 전국 4년제 언어병리학 전공 학과 중 상위권의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언어재활사가 취업 가능한 다양한 진로
언어재활사의 취업 분야는 영아기부터 노인기까지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군으로 광범위합니다.
언어재활사가 되면 각자가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의사소통장애에 따라 아래와 같은 진로 트랙에 따라 다양한 교육 및 임상 현장에서 일하면서,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언어재활사가 되면 각자가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의사소통장애에 따라 아래와 같은 진로 트랙에 따라 다양한 교육 및 임상 현장에서 일하면서,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진로 트랙 | 개요 | 주요 직업군 | 추천 연계 전공 (복수전공 탐색 지원) |
---|---|---|---|
성인의사 소통장애 전문가 트랙 | 신경언어-말-삼킴장애, 음성장애 등 성인 및 노년기에 겪을 수 있는 의사소통장애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평가 및 치료 실무 능력을 갖춘 의사소통장애 케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 트랙 | 병원(신경과, 재활의학과, 이비인후과 등), 장애인 및 노인복지관, 사설 언어치료센터, 프리랜서 언어재활사 등 | 심리학과 사회복지학과 |
아동의사 소통장애 전문가 트랙 | 언어발달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 학습 장애, 영유아의사소통장애 등 아동기에 겪을 수 있는 의사소통장애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평가 및 치료 실무 능력을 갖춘 의사소통장애 케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 트랙 | 병원(재활의학과, 소아 청소년과, 소아정신과 등), 사설 언어치료센터, 복지관,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통합 어린이집, 특수학교,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프리랜서 언어재활사 등 | 심리학과 국어국문학전공 사회복지학과 |
말장애 전문가 트랙 | 말소리장애(조음음운장애), 유창성장애 등 아동 및 성인기에 겪을 수 있는 말장애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평가 및 치료 실무능력을 갖춘 의사소통장애 케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 트랙 | 병원(재활의학과, 소아 정신과, 이비인후과, 구강 악안면외과 등), 사설 언어 치료센터, 복지관, 특수교육 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 센터, 프리랜서 언어재활사 등 | 심리학과 국어국문학전공 사회복지학과 |
또한 국내외 우수 대학원 진학의 기회가 있으며, 석박사 과정을 마친 후 대학이나 발달연구소 등에서 후학을 육성하고 관련 분야의 연구원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