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적의 증대
- 교내 교수들과의 협동 연구 과제를 기획하여 수주
- 나노팹과 바이오팹을 구축하여 교수들에게 공용 연구시설 제공
- 산학협동 연구를 통한 기술이전 활성화
-
교수경쟁력 강화
- 신임 교수 임용시 연구실적이 우수하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교수를 채용
- 지정형 산학협력 중점교원 제도를 활용하여 연구 전담 교수와 강의 전담 교수로 구분하여 학과 운영
- 산업체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학 네트워크를 강화

교육특성화
특성화 분야
미래융합 의료기기
목표
BT-NT-IT 융합기술기반의 미래융합의료기기 산업의 핵심기술 인력 양성
융합신소재공학
-
바이오 신소재
- 나노-유전체 전달/치료물질
- 생체조직재생
- 인공관절/인공치아
- 줄기세포 분화 베이스 컴플렉스
- 3D 프린팅
-
고분자 신소재
- 고분자 소재의 이해
- 플렉시블전자소재
- 생체친화형고분자소재
- 나노가공필터 신소재
-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 바이오엠스용 고분자신소재
- 고분자 무기소재접합
-
금속 신소재
- 금속 소재의 이해
- 신경계 인터페이스
- 금속신소재
- 반도체용 금속박막
- 나노금속촉매 신소재
- 나노 플라즈모닉 금속신소재
- 디스플레이용 투광성 금속 신소재
-
세라믹 신소재
- 세라믹 소재의 이해
- 나노입자, 와이어, 나노튜브, 그래핀 합성
- 유무기 하이브리드
- 소프트 나노소재
- 디스플레이용 투명 신소재
- 저온가공 세라믹 신소재
-
나노공정
- 나노 임프란트
- 자연모사
- 표면개질
- 미세유체제어멤스
- 플라스틱칩
- 나노 패턴닝
- 3D고조체가공
- 나노에너지소자
-
반도체 공정
- CMOS공정
- 디스플레이 공정
- 플렉시블 전자회로
- 반도성 나노와이어
- 투명전극
연구 특성화
미래융합 의료기기 구현
체외 현장진단 기기 / 인체삽입형 진단치료기기 / 인공조직 및 인공장기
융합신소재공학
-
바이오 신소재
- 나노-유전체 전달/치료물질
- 생체조직재생
- 인공관절/인공치아
- 줄기세포 분화 베이스 컴플렉스
- 3D 프린팅
-
바이오 소자
- 바이오 센서
- 랜온어칩
- 신경계 인터페이스
- NGS(차세대 시퀀싱)
- 이온분리멤스칩
- 바이오멤스
- 의료용 센서
-
의료기기
- 전혈 전처리 칩
- 면역진단기기
- 분자진단기기
- 현장진단기기
- 인체삽입형 기기
- 인공피부
- 인공장기
-
나노 소재
- 나노입자, 와이어, 나노튜브, 그래핀
- 유무기 하이브리드
- 소프트 나노소재
- 나노-바이오콘주게이트
- 나노 포토닉소자
- 플렉시볼 유기소재
-
나노공정
- 나노 임프란트
- 자연모사
- 표면개질
- 미세유체제어멤스
- 플라스틱칩
- 나노 패턴닝
- 3D고조체가공 나노에너지소자
-
반도체 공정
- CMOS공정
- 디스플레이 공정
- 플렉시블 전자회로
- 반도성 나노와이어
- 투명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