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ctivities
사업명 | 사업내용 |
---|---|
정부지원 연구과제 수행 실적 | 1994년 설립 이후, 본 연구소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중점육성연구소』 (1994년, 1997년)로 선정되어 기반을 다졌으며, 1998~2001년 교육부 『이공계 대학연구소 기자재 첨단화 지원사업』을 통해 30종 이상의 첨단 장비(1차년도, Automatic DNA Sequencer 외 6종; 2차년도, Bio Imaging Analyzer 외 3종; 3차년도, Microinjection System 외 14종; 4차년도,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외 11종)를 도입하여 연구 역량을 크게 강화하였다. 2009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 2차 사업』에 선정되었고, 2016년부터는 보건복지부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사업 중 『프리온 질환 치료제 개발』 과제를 수행하여, 국내 제약사와 협력한 임상 2상 승인이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
국가지정 연구센터 운영 | 본 연구소는 주요 질환 연구와 진단을 위한 국가지정센터로서 다음과 같은 기관을 운영해 왔다.
|
산학협력 연구과제 수행 | 본 연구소는 의료원과의 협력 연구뿐만 아니라 외부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도 활발히 추진해 왔다. 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 하에 일양약품과 『프리온 질환의 치료제 개발』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매일유업, 큐비엠(주), 제론바이오(주), 프라임포디아 등과 함께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건강기능식품, 차세대 진단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수행 중이다. 또한, 센터 내 화상연구소의 3D 프린팅 장비 및 GMP 시설을 기반으로 신규 산학협력과제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개인연구비 수주 성과 및 중대형과제 추진 전략 | 본 연구소는 전임교원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 등 주요 정부기관의 연구비 지원 사업에 적극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꾸준한 수주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기존 과제와 별도로 중점육성연구소, 기초연구실, 국가지정연구실 등의 중대형 과제 수주를 위한 체계적인 기획과 준비도 병행하고 있다. |
학술 교류 및 연구성과 | 본 연구소는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활발한 학술적 교류를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최신 지식 공유에 기여해 왔다. 노화 및 만성 퇴행성 신경질환 등 주요 연구 분야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학술적 논의를 촉진하기 위해, 국제심포지엄과 국내 학술심포지엄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노화 및 만성 퇴행성 신경질환을 주제로 2년마다 개최되는 『일송국제심포지엄』은 세계적 석학들과의 연구 교류를 위한 대표적인 국제 학술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매월 1~2회 월례세미나를 통해 국내외 석학을 초청하여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소 전임 연구진은 물론, 학내외 교수진, 대학원생, 학부생들에게도 폭넓은 학습 및 교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대학원생의 연구 발표 능력 향상과 자율 연구문화 조성을 위해 연 2회 『일송연구발표회』를 연 2회 개최하고 있으며, 의료원이 주관하는 기초·임상워크숍에도 적극 참여하여 기초 및 임상 연구자 간의 유기적인 협력 기반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외에도 『젊은 과학도들을 위한 심포지엄』 등 대학원생 중심의 학술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의 국제 공동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던 대면 학술 교류는 현재 재개되어 다양한 학술 행사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성과 지표로는 지금까지 400회 이상의 학술행사 개최, 120건 이상의 외부 연구과제 수주, 300여 편의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200편 이상의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게재 등이 있다. |
대학원 교육 및 인재 양성 | 2002년 『생명·노화연구센터』 과제의 일환으로 학부 및 대학원에 『노화생명과학협동과정』을 설립·운영하였으며, 2014년 이를 발전시켜 일반대학원 내 『노화생명과학과』로 개편하여 석·박사과정 교육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현재 해당 학과의 모든 학생에게 연구조교장학금과 일정 수준의 생활보조금을 지원하고 있고, 내실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해 석박사 졸업요건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구력 향상과 연구 활성화를 위해 연 2회의 정기 연구발표회를 개최하고 있다.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정부초청장학제도(GKS)』를 활용하여 외국인 대학원생 유치도 확대하고 있다. |
연구소 특성화 전략 | 본 연구소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생명노화특정연구센터』로 지정받아, 학부 및 대학원에 『노화생명과학협동과정』 신설을 주도하는 등, 노화 관련 생명과학 분야에서 특성화된 연구와 교육을 주도해 왔다. 주요 연구 분야는 치매, 파킨슨병, 노인성 근감소증, 프리온 질환 등 퇴행성 신경질환이며, 다학제 융합을 통해 노화 관련 질환의 진단,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및 응용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특히, 프리온 질환 분야는 진단센터 및 부검센터 운영을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노화생명과학협동과정에서 발전된 대학원 『노화생명과학과』를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관련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대학과 연구소의 특성화 전략 실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
첨단장비 기반 연구지원 | 교육부의 『이공계 대학연구소 기자재 첨단화 지원사업』을 통해 생명과학 연구에 필수적인 고가장비를 다수 도입하였다. 주요 장비로는 Automatic DNA Sequencer, Fluorometer, Inverted Fluorescence Microscope, Luminometer, Bio-Imaging Analyzer, Cryocut Microtome, FPLC, Chemi-Doc System, Stereotaxic microinjector with dry sterilizer, PDQ 2-D analysis system, Confocal Microscope 외 10여 종 등이 있으며, 이후 신형 Confocal Microscope, FACSCalibur, FACSAria II, 전자현미경 등도 추가로 도입하여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 현재 전담 연구사들이 장비의 체계적인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내·외부 연구자를 대상으로 장비 사용 교육과 시료 분석 등 다양한 연구지원 활동을 병행함으로써 실험 효율성과 연구 품질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중장기 발전 전략 | ‘초고령 사회에 대응하는 선도 연구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위해 다음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