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외국인 학생 공통 졸업 기준
- 1이수학기: 8학기 이상 이수 (학․석사연계 7학기 가능)
- 2취득학점: 총 130점학점 이상 (단과대학/스쿨별 기준은 별도 참조)
- 3성적기준: 총 평점평균이 2.00이상 취득 (편입학생은 인정학기 및 인정학점을 포함, 단 평점은 우리학교 취득만 해당)
- 4TOPIK 4급 취득
- 한림대학교 학칙 제42조 5호에 의거하여, 2011학번 이후 신입 및 2009학번 이후 편입생 중 외국인의 경우, 졸업사정 전까지 한국어능력시험(TOPIK) 4급 이상 취득 혹은 이와 동일한 수준 이상의 평가 점수 또는 교육과정 이수 확인 후 졸업논문(시험) 병행심사
(※단, 영어성적으로 입학하고 해당학과가 영어로 수업 진행하는 경우 제외)
구분 | 필수학점 | 영역 | 내용 | 비고 | |
---|---|---|---|---|---|
교양필수 | 필수 | 2 | 생애설계 | 오디세이세미나1 | 졸업전까지 |
오디세이세미나2(리더십과기업가정신) | |||||
선택필수 | 12 | 글로벌소통 | <아래 2번 내용 참조> | ||
1 | 스포츠웰니스 | 스포츠 교과목 중 1과목 선택하여 수강 |
필수교양 이수(한국어트랙 입학 학생)
외국인 학부생 글로벌소통영역 졸업 이수 기준 적용 대상자 및 이수 기준
- 1
TOPIK 수준에 따라 지정교과목
- 2제외 대상자
- 편입학생: 이수의무 없음
- 글로벌학부: 별도의 졸업기준을 적용함 - 3외국인 학부생 글로벌소통영역 졸업 이수 기준
이수 기준 | 이수 대상 교과목 | 시행시기 | |||||||||||||
---|---|---|---|---|---|---|---|---|---|---|---|---|---|---|---|
선택필수 - [글로벌소통] 영역 |
입학시 토픽(TOPIK) 수준에 따른 구분 없이 글로벌소통 영역 내 12학점 이상 이수 (단, 대학한국어3은 필수이수) |
|
2024년 8월 졸업생부터 적용함 - 글로벌소통 영역 내의 12학점 이상 이수는 2024년 8월 졸업대상자부터 소급 적용 - 대학한국어3의 필수이수 적용은 2025년 8월 졸업대상자부터 반영 |
- 4편입생 교양필수∙교양선택 과목 이수 기준
- 1편입생은 교양필수∙교양선택 과목 이수의무 없음(선택사항)
- 2취득한 교양필수∙교양선택 과목의 학점에 대해 졸업학점으로 모두 인정
Ⅲ. 전공 이수 기준
- 1전공필수
- 각 전공별로 지정된 교과목(학점)을 이수하되 교과과정 변경된 경우는 재학기간 중 최저 학점 수만 충족
(학번별 필수 교과목 목록에서 본인에게 유리한 기준으로 충족, 단 본인학번 이전 학번으로 적용 불가)
※ 편입학생은 인정학점을 포함하여 이수학점 계산
- 각 전공별로 지정된 교과목(학점)을 이수하되 교과과정 변경된 경우는 재학기간 중 최저 학점 수만 충족
- 2단일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별 졸업 이수 학점 기준
- 1졸업에 필요한 취득학점표
구 분 | 총 취득학점 | 전공 인정 학점 | |||
---|---|---|---|---|---|
복수전공 이수학생 | 복수전공 예외학생 | 2016학년도 이전입학생 | |||
복수전공 (제1전공 기준동일) | 단일 전공 | 부 전 공 | |||
인문대학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사회과학대학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경영대학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자연과학대학 | 130이상 | 33 | 70 | 제1전공 50 부전공 25 | |
정보과학대학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의과대학 | 200이상 | - | 170 | - | |
간호대학 | 130이상 | - | 81 | - | |
글로벌 융합대학 | 글로벌 학부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미디어스쿨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반도체ㆍ디스플레이스쿨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미래융합스쿨 | 130이상 | 33 | 60 | 제1전공 42 부전공 21 |
- 22017학번부터 복수전공 이수 필수이며, 부전공 전환 불가
※ 복수전공 필수 이수 예외: 의과대학, 간호대학 및 글로벌학부 소속 학생, 외국인전형입학생, 편입생, 체육특기자, 교직과정 이수학생 및 2016학년도 이전 입학생 - 3교직이수자는 전공 50학점 기준 이상 취득하여야 교직 자격증 이수 가능하며, 교직 이수 가능 여부와 별개로 졸업 기준은 위의 표와 동일 적용(세부사항은 일송자유교양대학 2759번으로 문의)
- 4단일전공, 복수전공 이수자의 경우 각 전공별 졸업논문(시험) 합격 필수(부전공 이수자는 예외)
- 5복수전공 및 부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의 교양교과목 이수기준은 소속학과의 기준을 따름.
- 6학·석사연계과정 선발학생은 대학원 석사과정 개설과목을 9학점까지 이수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음.
- 7자연과학대학의 식품영양학과 교직과정 이수자의 단일 전공 졸업 이수 학점은 60학점임
- 8심리학과, 생명과학과, 빅데이터전공 교직과정 이수자의 단일 전공 졸업 이수 학점은 50학점임
- 9의과대학 소속 학생의 국외 대학과의 학점교류에 따른 수료 학점은 2학년 65학점, 3학년 102학점, 4학년 135학점으로 한다.
- 3편입생 전공 이수 기준
- 1위 표의 졸업학점 기준 동일 적용 (전적대학 인정학점 포함하여 산정)
- 2편입생은 복수전공 필수 이수 예외(선택사항)
- 3편입생은 2014학번부터 오디세이세미나3 이수 필수
- 4학과별 산학현장실습 전공인정학점 범위
- 아래 학과별 기준에 따라 전공학점으로 인정 가능하며, 졸업사정 시 해당 기준 충족 여부 반드시 확인 필요
(전공인정가능학점 초과 시 학생 상담 후 일반선택으로 이수구분 변경 필수) - 기 이수 학생의 경우는 아래표를 참조하여 학점을 인정하며 2022-1학기부터는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적용
(최대 (주+복수)전공 15학점까지 인정 가능) - 관련 문의는 현장실습지원센터(Tel: 1086) 및 https://intern.hallym.ac.kr 참조
- 아래 학과별 기준에 따라 전공학점으로 인정 가능하며, 졸업사정 시 해당 기준 충족 여부 반드시 확인 필요
기이수 학생 전공인정학점 범위 (2021-동계학기까지의 이수자) |
||||
---|---|---|---|---|
대학 | 학과/부 | 전공 | 전공인정학점 범위(2021-동계학기 기준) |
|
단일전공 | 복수전공 (타학과학생 및 소속학과생 동일) |
|||
인문대학 | 인문학부 | 국어국문학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사학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철학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영어영문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중국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일본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러시아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사회과학대학 | 심리학과 | 장/단기 합계 9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1. 심리학과 소속 복수전공생: 장/단기 합계 9학점 인정 (전공분야만 인정: 학과심사) 2. 타학과 소속 심리학과 복수전공생: 불인정 ※ 2019-하계학기부터 적용 |
|
사회학과 | 장/단기 합계 12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사회복지학부 | 사회복지학전공 | 단기 6학점 (장기 불인정) | 단기 6학점 (장기 불인정) | |
노인복지학전공 | 단기 6학점 (장기 불인정) | 단기 6학점 (장기 불인정) | ||
정치행정학과 | 장/단기 합계 3학점 ※ 2020-1학기부터 적용 | 장/단기 합계 3학점 ※ 2020-1학기부터 적용 | ||
광고홍보학과 | 장/단기 합계 9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장/단기 합계 9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전공인정가능 단, 이수필수 학점 (33학점)에는 미포함) |
||
법학과 | 장기 12학점 (단기 불인정) | 불인정 | ||
경제학과 | 장/단기 합계 9학점 (단기 3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경영대학 | 경영학과 | [2016학번 이전] 장/단기 합계 12학점 (단기 6학점) [2017학번 이후] 장/단기 합계 9학점 (단기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금융재무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2019-2학기부터 적용 |
장/단기 합계 3학점 ※ 2019-2학기부터 적용 |
||
자연과학대학 | 화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생명과학과 | 장/단기 합계 9학점 (단기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바이오메디컬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식품영양학과 | 불인정 | 불인정 | ||
환경생명공학과 | 장/단기 합계 3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언어청각학부 | 언어병리학전공 | 장/단기 합계 9학점 (단기 6학점) | 장/단기 합계 9학점 (단기 6학점) | |
청각학전공 | 장/단기 합계 9학점 (단기 6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단기 3학점) ※ 2019-하계학기부터 적용 |
||
체육학과 | 장/단기 합계 6학점 ※ 2019-동계학기부터 적용 | 장/단기 합계 9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2019-동계학기부터 적용 |
||
의과대학 | 의학과 | 불인정 | 불인정 | |
간호대학 | 불인정 | 불인정 | ||
글로벌융합대학 | 글로벌 학부 |
글로벌비즈니스전공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정보법과학전공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
국제통상경영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
정보법과학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장/단기 합계 15학점 (단기 3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
융합인재 학부 |
의과학융합전공 | 장/단기 합계 15학점 ※ 2020-하계학기부터 적용 |
장/단기 합계 15학점 ※ 2020-하계학기부터 적용 |
|
AI융합전공 | - | 장/단기 합계 15학점 ※ 2020-하계학기부터 적용 |
||
※ 신설 전공(인공지능융합학부)의 전공인정학점 범위는 추후 공지 예정 |
||||
미디어스쿨 | 언론방송융합미디어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단기 3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단기 3학점) | |
디지털미디어콘텐츠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단기 3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단기 3학점) | ||
데이터과학융합스쿨 | 디지털금융정보전공 | 불인정 | 불인정 | |
데이터테크전공 | 불인정 | 불인정 | ||
임상의학통계전공 | 불인정 | 불인정 | ||
금융정보통계학과 | 단기 6학점 (장기 불인정) | 불인정 | ||
반도체ㆍ디스플레이스쿨 | 반도체전공 | 장/단기 합계 9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디스플레이전공 | 장/단기 합계 9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응용광물리학과 | 장/단기 합계 12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SW융합대학 | 컴퓨터공학과 | 장/단기 합계 12학점 (장기 9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전자공학과 | 장/단기 합계 12학점 (단기 3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융합소프트웨어학과 | 장/단기 합계 12학점 (장기 9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빅데이터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콘텐츠IT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스마트IoT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미래융합스쿨 | ICT융합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디지털인문예술전공 | 장/단기 합계 12학점 | 장/단기 합계 6학점 | ||
한류크리에이터공공외교융합전공 (글로벌협력전공 명칭변경예정 3/1~) |
장/단기 합계 15학점 | 장/단기 합계 15학점 | ||
융합관광경영전공 | 장/단기 합계 12학점 | 장/단기 합계 12학점 | ||
의약신소재전공 | 장/단기 합계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융합신소재공학전공 | 장/단기 합계 12학점 (단기 6학점) | 장/단기 합계 3학점 | ||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 | 장/단기 합계 12학점 ※ 2019-동계학기부터 적용 |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테크놀러지융합전공 |
- | 장/단기 합계 3학점 ※ 2019-동계학기부터 적용 |
||
공공인재융합전공 | - | 장/단기 합계 6학점 ※ 2021-하계학기부터 적용 |
||
산학협력특성화대학 | 헬스케어진단 전공 | - | 장/단기 합계 6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
지능형 IoT 전공 | 2019-1 스마트IoT로 통합 | 2019-1 스마트IoT로 통합 | ||
사회혁신경영융합전공 | - | 장/단기 합계 6학점 ※ 전공분야만 인정-학과심사 |
||
건강돌봄디자인 전공 | - | 장/단기 합계 6학점 ※ 2019-동계학기부터 적용 |
Ⅳ. 조기졸업 및 학․석사연계과정(이하‘연계졸업’이라 한다.) 졸업사정 기준
(한림대학교학칙 제42조, 학칙에 관한 시행세칙 제50, 51조 참조)
- 1이수학기 기준
- 1조기졸업: 6학기 또는 7학기 이수
- 2연계졸업: 7학기 이수
- 2성적기준
- 1조기졸업: 4.00 이상
- 2연계졸업: 3.50 이상이고, 대학원수료학점으로 인정받을 대학원 교과목을 최소 3학점 이상 취득
- 3조기/연계 졸업 탈락 시 잔여학기 수강 필수(등록금 전액 납부)
- 3기타 공통 기준
- 1졸업에 필요한 기초․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의 학점을 취득
- 2각 학과/전공 별 졸업 기준 충족(졸업논문, 시험 등)
- 3외국인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경우 TOPIK 4급 이상 충족 혹은 이와 동일한 수준 이상의 평가 점수 또는 교육 과정 이수
(2011학번부터 적용, 단 영어성적으로 입학하고 해당 학과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경우 예외) - 4 학·석사연계과정에 선발된 학생은 대학원 석사과정 개설과목을 9학점까지 이수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