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학개론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Science)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에너지 흐름 및 물질 순환 등 환경과학의 기초 개념을 학습하고, 대기, 수질, 토양 등 주요 환경 요소를 중심으로 환경오염의 원인과 영향을 이해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한 기초 소양을 기른다.
환경미생물학 (Environmental Microbiology)
환경 내 미생물의 생리적 특성과 대사, 유전, 생태학적 역할을 이해하고, 물질순환, 오염물 제거, 폐수처리 등 다양한 환경공정에서의 미생물 활용 방안을 학습한다.
폐수처리공학 (Wastewater Treatment Engineering)
도시 및 산업 폐수의 특성과 처리 기술을 이해하고,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단위 공정 및 고도 처리 기술의 원리를 바탕으로 폐수처리 공정의 설계 및 적용 능력을 배양한다.
환경독성학 (Environmental Toxicology)
중금속, 유기용제, 농약 등 환경유해물질의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분석하고,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환경위해성 평가 및 관리 방안을 학습한다.
환경화학 (Environmental Chemistry)
수질, 대기, 토양 등 다양한 환경매체 내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거동을 이해하고, 이들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화학적으로 분석하는 기초 역량을 기른다.
토양오염제어 (Soil Pollution Control)
오염된 토양 또는 대수층에서 발생하는 각종 물리, 화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최근의 토양, 지하수 복원을 위하여 개발된 신기술의 기초이론 및 응용사례를 학습한다.
대기오염제어 (Air Pollution Control)
대기 중 오염물질의 발생 원인과 특성을 이해하고, 각 오염물질에 적합한 처리 기술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학습하여 대기환경 개선 능력을 함양한다.
공정양론 (Process Principles and Calculations)
환경공정 설계를 위한 물질수지와 에너지수지 계산의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환경공정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적 기법과 계산 능력을 습득한다.
지구환경 (Earth Environment)
지구 시스템 내 수권, 암석권, 대기권의 물질순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인간 활동이 자연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며, 지구환경 변화에 대한 통합적 시각을 기른다.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환경학 관련 주제를 학생이 자율적으로 선정하고 지도교수의 개별 지도를 받아 실험·조사·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전공 지식의 실제 적용 능력을 강화하고, 연구기획부터 문제 해결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경험하는 실무 중심 과목이다.
환경에너지공학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환경과 에너지의 연관성, 상호작용 및 신재생 에너지 (renewable energy)의 종류, 원리 및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환경산화공정 (Environmental Oxidation Process)
환경 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한 여러 가지 환경 산화공정의 원리 및 작용 프로세스에 대해 학습한다.
환경유기화학 (Environmental Organic Chemistry)
유기 오염물질의 구조, 특성, 산화제와 유기 오염물질간의 반응 및 유기 오염물질의 분해 메커니즘에 대해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