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유기화학 연구실 - 이정태 교수
생유기화학 연구실에서는 유기합성을 기반으로 신규 의약품, 천연물과 이들의 유도체, 거대고리분자, 신소재 등을 설계하고 직접 다단계 합성하며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신규 의약품 후보물질과 천연물 유도체들의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하고, 천연향을 추출과 이들의 개임 맞춤형 aroma therapy에 응용하고, 거대고리분자와 신소재 후보물질들을 이용하여 생체영상과 양자컴퓨팅에 응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천연물 유도체들의 설계와 다단계 합성
-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바이러스 등의 생리활성 측정
- 천연향 추출과 이들을 이용한 aroma therapy 응용
- 새로운 거대고리분자와 신소재 후보물질 디자인과 합성
-
무기소개 연구실 - 이우람 교수
무기소재 연구실에서는 목표로 설정된 특정 물질을 설계하고 합성법을 고안, 무기 및 유기합성법을 이용한 리간드와 다기능의 배위 화합물을 제조하여, 전산모사를 통한 구조 시뮬레이션, X-ray 회절분석, 열무게분석, 전자현미경분석(SEM), 분광분석, 기체흡착분석 등을 통해 만들어진 물질의 물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O2 포집 및 전환 소재 합성
- 유해물질 포집 및 전환 소재 합성
- 수소 저장 물질 합성
- 의약 촉매 합성
-
유기생체소재 연구실 - 이호재 교수
유기생체소재 연구실에서는 천연물과 이들의 유도체, 고분자, 초분자 등을 합성하여 생체에 적합한 신소재를 개발하며, 이를 살아있는 미생물 및 동물세포에 적용하는 살아있는 세포를 하나의 소재로 활용하는 바이오-인터페이스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유기합성부터 고분자 합성까지, 그리고 미생물과 동물세포 배양 등 폭넓은 분야를 연구합니다. 또한, 생체물질 검출을 위한 센서 개발을 위한 confocal microscopy, SEM, TEM, XPS, XRD, Ellipsometry, UV-vis spectroscopy 분석을 연구합니다.- 천연물 유도체 및 고분자 합성
- 세포피포화: 살아있는 세포를 생체소재로 활용
- 생체물질 검출 센서 개발
- 나노미터 두께의 초정밀 분자 박막 형성
-
유기, 생유기, 의약화학 연구실 - Satish B. Nimse 교수
OBMC 연구실(Organic,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aboratory)에서는 유기 및 생물유기 화학, 의약화학, 나노화학, 생물분석화학, computational drug design 및 molecular modeling을 융합하여 신약후보물질 개발과 바이오센서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분자 기반 형광 프로브의 설계 및 합성,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약물-표적 상호작용 분석, 생체분자 인식용 초분자 구조체 개발, 바이오마커 검출을 위한 휴대형 진단기기 개발 등을 통해 정밀의학 및 나노바이오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항암 및 항바이러스 활성 저분자 신약후보물질 설계 및 합성
- 형광 "Turn-On" 프로브 개발을 통한 생체분자 검출 및 정량 분석
-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기반 약물-표적 상호작용 및 나노입자 형성 메커니즘 규명
- 초분자 구조체를 활용한 생체분자 인식 및 바이오센서 개발
- 바이오마커 검출을 위한 휴대형 진단기기 및 현장 진단 기술 개발
- 약물 재창출(Drug Repurposing)을 위한 computational drug design 및 molecular modeling 연구
팝업건수 : 총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