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학 연구소에서
2022.9.19(월)~10.31(월) 진행되는 시민인문강좌에 대한 홍보를 안내드립니다.
[ 2022년 행복한 웰다잉 학교 참가자 모집 ]
"죽음을 공부하면 우리는 더 잘 살 수 있습니다"
삶은 죽음을 배경으로 할 때 가장 잘 보입니다.
죽음을 공부하면 우리의 삶은 보다 명료해집니다.
삶과 죽음의 현장에 있는 전문가들이
죽음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좋은 삶, 좋은 죽음의 방향을 제안합니다.
일시: 2022. 9. 19(월) ~ 10. 31(월)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30분 ~ 9시
장소: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램 Zoom
대상: 좋은 삶, 좋은 죽음, 웰다잉, 사별, 호스피스, 고독사에 관심 있으신 분
모집 인원: 선착순 50명
신청 방법: 온라인 접수, https://forms.gle/KS9B9FJR4nSFsz13A
비용: 7만원(3333-17-2842765, 카카오뱅크, 강원남)
교육 내용
- 1회기 9. 19(월): 잘 살고 잘 죽는 법 ‘웰다잉’ / 왜 죽음을 공부해야 하는가, 강원남(행복한 죽음 웰다잉연구소 소장, ‘누구나 죽음은 처음입니다’ 저자)
- 2회기 9. 26(월): 상실, 또 다른 이름의 치유 / 사별가족, 어떻게 위로할 것인가, 손영순 까리따스 수녀(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소속, ‘죽음에게 물었더니 삶이라고 답했다’ 저자)
- 3회기 10. 10(월):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이해, 박중철(가톨릭대학교 인천 성모병원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 교수,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저자)
- 4회기 10. 17(월): 그림책으로 배우는 삶과 죽음 / 아이들에게 어떻게 죽음을 말할까, 임경희(前 상지초등학교 교사, ‘그림책으로 배우는 삶과 죽음’ 저자)
- 5회기 10. 24(월): 홀로 떠난 이들의 차마 못다한 이야기 / 무연고 사망자 공영장례 이야기, 박진옥(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공영장례지원단체 나눔과 나눔 상임이사)
- 6회기 10. 31(월): 이웃과 더불어 사는 삶 /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정수현(김제사회복지관 과장, ‘정수현의 사례관리 실천기록’ 저자)
비고
- 교육 당일 실시간 참가가 어려울 경우 신청자에 한해 다음날까지 녹화 영상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교육 전과정을 참가하신 분들께 교육 수료증을 PDF로 전달해 드립니다.
- 교육을 신청하신 분들께 행복한 죽음 웰다잉 연구소에서 제작한 ‘해피엔딩노트’ 를 증정합니다.
- 수익금은 서울시 무연고사망자 공영장례지원단체 ‘나눔과 나눔’에 후원됩니다.
문의: 010-4894-5784
주관: 행복한 죽음 웰다잉 연구소 & 삶과 죽음을 함께 이야기 나누는 온라인 카톡방 ‘Death 톡톡’
함께하는 곳: 한림대학교 생사학 연구소, 한림대학교 생명교육융합학과,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나눔과 나눔
자세히 보기: https://well-dying.kr/778
관심있으신 분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고, 생사학 연구소에 연락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