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쿨
Media School
스쿨 교육목표
미디어스쿨의 대학원 프로그램은 석사와 박사학위 과정을 모두 제공하며,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분야의 심화된 연구 능력 배양을 기본 목표로 삼는다. 석사학위 과정은 인문사회학적 기초 소양을 바탕으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쌓고 기초적 연구 능력을 함양하는데에 일차 목표를 둔다. 석사 교육의 이수자는 실무 분야 진출을 목표로 삼는 경우 언론, 방송, 통신, 문화콘텐츠, 광고/PR, 인터넷 등 제 분야에 걸쳐 최소한의 이론적 지식과 연구 주제에 관련된 기초 전문성을 배양한다. 박사과정 연구자는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범 학제적 이론에 대해 독서 및 비평 능력을 심화하며, 이를 바탕으로 독립적 연구 프로젝트의 책임 수행 능력을 키운다.
세부 전공 분야
석사학위과정 :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 AI미디어교육전공
박사학위과정 :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 AI미디어교육전공
학과 교수 소개
성명 | 직급 | 최종학위명 | 전공 |
강명현 | 교수 | Ph.D. (미시건주립대) | 방송, 통신, 인터넷 |
권재웅 | 교수 | Ph.D. (템플대) | 애니메이션, 엔터테인먼트 |
김경희 | 교수 | Ph.D. (이화여대) | 인터넷저널리즘, 미디어교육 |
김신동 | 교수 | Ph.D. (인디애나대) | 방송, 통신, 영화, 문화산업, 국제 |
노기영 | 교수 | Ph.D. (미시건주립대) | 디지털콘텐츠, 헬스커뮤니케이션 |
류재형 | 교수 | Ph.D. (조지아주립대) | 방송, 통신, 영화기술 |
박승현 | 교수 | Ph.D. (인디애나대) | 방송, 통신, 미디어 경제 |
송현주 | 교수 | Ph.D. (미주리대) | 언론, 정치커뮤니케이션 |
심 훈 | 교수 | Ph.D. (텍사스대) | 언론, 미디어 윤리법제 |
이승환 | 교수 | Ph.D. (인디애나대) | 디지털콘텐츠, 창업 비지니스 |
정연구 | 교수 | Ph.D. (연세대) | 언론, 언론사, 사진 |
주영기 | 교수 | Ph.D. (미주리대) | 언론, 헬스/데이터 저널리즘 |
최영재 | 교수 | Ph.D. (텍사스대) | 언론, 융합미디어, 방법론 |
Michael Prieler | 교수 | Ph.D. (토호쿠대) | 문화, 광고, 방법론 |
이재길 | 조교수 | Ph.D. (성균관대) | 인간컴퓨터상호작용, 사용자 경험 |
안창현 | 조교수 | Ph.D. (뉴욕주립대) | 커뮤니케이션 |
https://media.hallym.ac.kr/
내 규
제1조(목적) 이 내규는 한림대학교 대학원 학칙과 제반 규정이 정한 범위 안에서 언론정보학과 대학원 교육을 위하여 필요한 규정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조(전공분야) 본 학과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과 AI미디어교육전공에 각각 석사 및 박사 전공분야를 둔다.
제3조(입학전형) 서류전형 및 구술시험에 의하여 입학을 전형하되 대학원입학전형 등급별 배점표의 점수를 참조하여 선발한다.
제4조(필수과목) 두 전공 모두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1을 필수과목으로 한다.
제5조(학부, 석사과정 연계과목) 학부 4학년의 경우 전학년 평균 평점 성적이 3.5이상인 학생은 학과장의 허가를 얻어 2과목 이내의 범위에서 대학원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 학부생이 수강한 과목은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 그 학점을 인정할 수 있다.
제6조(타학과 또는 타전공 인정과목) 타학과 또는 타전공 과목을 수강하려는 학생은 학과장 또는 지도교수의 허가를 얻어 수강할 수 있다.
제7조(보충과목) 학부에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문을 전공 (또는 복수전공)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학부의 전공과목을 보충과목으로 4과목 이내에서 수강하여야 한다. 과목은 지도교수와의 논의를 통해 보충과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만, 지도교수가 학부에서 수강한 과목 중 미디어 관련 과목을 보충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다.
제8조(종합시험과목) ① 종합시험과목은 석사학위과정은 2과목, 박사학위과정은 3과목으로 한다.
② 석사학위 과정 학생은 공통과목과 전공과목 중 2과목을 시험과목으로 선택한다
③ 박사학위과정 학생은 공통과목과 전공과목 중 3과목을 시험과목으로 선택한다. 선택과목은 동일 교수의 교과목을 중복 신청할 수 없으며, 외부 강사 교과목은 1개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다.
④ 종합시험 대체기준 : KCI 등재지 이상 제1저자로 게재한 경우 단, SCIE급은 공동저자 포함.
제9조(학위논문 제출자격) 학위논문 제출자격은 대학원에서 4학기 이상(학․석사연계과정 학생은 3학기 이상)을 등록하고 최종학기 수강신청을 포함해서 수료학점 이상을 취득함과 동시에 논문제출자격시험 (종합시험)을 통과한 자에 한한다.
제10조(학위논문지도) 석사 및 박사학위과정 학생은 졸업예정 직전 학기 시작 30일 내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논문주제를 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11조(학위논문 제출 및 심사) 대학원 학칙 및 제 규정에 따른다.
부 칙
① 이 내규는 200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 이 개정 내규는 2003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③ 이 개정 내규는 2006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④ 이 개정 내규는 2010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⑤ 이 개정 내규는 2012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⑥ 이 개정 내규는 201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⑦ 이 개정 내규는 2020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⑧ 이 개정 내규는 2020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⑨ 이 개정 내규는 2021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⑩ 이 개정 내규는 202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⑪ 이 개정 내규는 2023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⑫ 이 개정 내규는 2023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⑬ 이 개정 내규는 2024년 12월 15일부터 시행한다.
교과과정
▷ 논문과목
코드번호 | 교 과 목 명 | 학 점 | 수강대상 | |
G00101 | 논문연구Ⅰ | Thesis Research I | 2-2-0 | 석․박사공용 |
G00102 | 논문연구 II | Thesis Research II | 2-2-0 | 석․박사공용 |
G00103 | 논문연구 III | Thesis Research III | 2-2-0 | 석․박사공용 |
G00104 | 논문연구 IV | Thesis Research IV | 2-2-0 | 석․박사공용 |
▷ 공통과목
코드번호 | 교 과 목 명 | 학 점 | 수강대상 | |
G60156 | 커뮤니케이션이론 | Communication Theory | 3-3-0 | 석․박사공용 |
G90085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Ⅰ | Research Methods in Communication Ⅰ | 3-3-0 | 석․박사공용 |
G03160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Ⅱ | Research Methods in Communication Ⅱ | 3-3-0 | 석․박사공용 |
G03182 | 방송통신정책론 | Media Policy Research | 3-3-0 | 석․박사공용 |
G03228 | 미디어수용자연구 | Audience Studies | 3-3-0 | 석․박사공용 |
G91396 | Academic Writing | Academic Writing | 3-3-0 | 석․박사공용 |
미디어와 인터렉션 | Media and Interaction | 3-3-0 | 석․박사공용 | |
G03794 | 디지털애니메이션연구 | Digitalized Animation Research | 3-3-0 | 석․박사공용 |
G03162 | 뉴미디어저널리즘연구 | New Media Journalism Research | 3-3-0 | 석․박사공용 |
G03170 | 언론법제와 윤리 | Media Law and Ethics | 3-3-0 | 석․박사공용 |
G90549 | 디지털 문화연구 | Digital Culture | 3-3-0 | 석․박사공용 |
G03418 | 영상이론세미나 | Film and Television Criticism | 3-3-0 | 석․박사공용 |
생성형 AI 이해와 활용 |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 3-3-0 | 석․박사공용 | |
G03793 | 디지털콘텐츠구성론 | Design for Digital Content | 3-3-0 | 석․박사공용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전공과목
코드번호 | 교 과 목 명 | 학 점 | 수강대상 | |
G03164 | 언론특강 | Topical Seminar in Journalism | 3-3-0 | 석․박사공용 |
G03172 | 정치와언론 | Politics and Media | 3-3-0 | 석․박사공용 |
G03173 | 한국방송론 | Broadcasting in Korea | 3-3-0 | 석․박사공용 |
G03175 | 방송세미나 | Seminar on Broadcasting | 3-3-0 | 석․박사공용 |
G03176-2 |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Communication and Culture | 3-3-0 | 석․박사공용 |
G03178-2 | 텔레비전분석과 비평세미나 | Television Analysis and Criticism | 3-3-0 | 석․박사공용 |
G03183 | 국제커뮤니케이션 |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3-3-0 | 석․박사공용 |
G03789 | 인터넷커뮤니케이션연구 | Internet Mediated Communication | 3-3-0 | 석․박사공용 |
G03791 | 현대디지털테크놀로지연구 | Modern dogotal Technology Research | 3-3-0 | 석․박사공용 |
G90086 |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 Studies on Information Society and New Media | 3-3-0 | 석․박사공용 |
G90613 | 다양성과 미디어 | Diversity and the Media | 3-3-0 | 석․박사공용 |
G90614 | 영상산업론 | Studies on the Film Industry | 3-3-0 | 석․박사공용 |
G90615 | 위험사회와 미디어 | Risk Society & Media | 3-3-0 | 석․박사공용 |
G90859 | Advertising and Society | Advertising and Society | 3-3-0 | 석․박사공용 |
G91092 | 영화와사회 | Film and Society | 3-3-0 | 석․박사공용 |
▷ AI·미디어교육전공과목
코드번호 | 교 과 목 명 | 학 점 | 수강대상 | |
AI·미디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AI Media Education | 3-3-0 | 석․박사공용 | |
미디어효과와 미디어리터러시 | Media Effects and Media Literacy | 3-3-0 | 석․박사공용 | |
미디어리터러시 연구 세미나 | Seminar on Media Literacy Research | 3-3-0 | 석․박사공용 | |
AI·미디어 윤리와 규제 | Ethics and Regulations of AI Media | 3-3-0 | 석․박사공용 | |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설계이론 | Theor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esign | 3-3-0 | 석․박사공용 | |
AI·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설계 프로젝트 | Practice of AI·Media Literacy Education Design | 3-3-0 | 석․박사공용 | |
Ai미디어학습자연구 | AI Media Learner Studies | 3-3-0 | 석․박사공용 | |
AI 기반 미디어 제작 실습 | AI-based Media Production Practice | 3-3-0 | 석․박사공용 | |
AI와 스토리텔링 | AI and Storytelling | 3-3-0 | 석․박사공용 | |
성인발달과 미디어교육 | Adult Development and Media Education | 3-3-0 | 석․박사공용 | |
소셜미디어와 소셜콘텐츠 | Social Media and Social Content | 3-3-0 | 석․박사공용 | |
건강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 Health Communication and Media Education | 3-3-0 | 석․박사공용 | |
AI·미디어 사용자 경험 설계 | Design of AI Media User Experience | 3-3-0 | 석․박사공용 | |
에듀테크 및 AI활용교육 사례연구 | Case Studies of AI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 3-3-0 | 석․박사공용 | |
AI·미디어 테크놀로지와 교육 | Education and AI Media Technology | 3-3-0 | 석․박사공용 |
교과목 해설
공통과목 |
미디어와 인터랙션 (Media and Interaction)
디지털 미디어와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과목으로, 사용자 경험(UX), 인터페이스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성을 분석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의 핵심 개념과 기술을 이해하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사용자 행동과 상호작용을 설계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I(Research Methods in Communication I)
This course introduces graduate students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communication studies, equipping them with the skills to conduct research. 이 과정은 대학원생들에게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의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배양하도록 돕는다.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Ⅱ(Research Methods in Communication Ⅱ)
본 수업은 커뮤니케이션 연구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한 통계 기법을 학습하기 위해 진행된다.
Academic Writing
이 수업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전공의 학생들이 학술 목적의 글쓰기에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뉴미디어저널리즘연구(New Media Journalism Research)
현대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매스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영향력에 따른 사회변동과 관련 이론에 대한 연구 및 토론을 행한다.
방송통신정책론(Media Policy Research)
방송통신 산업과 관련된 법률적 규제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법률의 변천과정과 현행법제를 사례중심으로 고찰하게 된다.
미디어수용자연구(Audience Studies)
이 과목은 미디어를 소비하는 수용자들의 행동과 심리, 그리고 미디어가 사회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전통적인 수용자 연구에서부터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소비 패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론과 사례를 다룬다.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반응 데이터를 분석하며,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 방법론을 학습한다. 또한, 문화적 맥락에서 미디어 수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디지털콘텐츠구성론(Design for Digital Content)
콘텐츠의 산업적, 상업적 활성화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내용의 기획과 제작을 위해 기존의 원천 콘텐츠를 활용하면서 다변화된 플랫폼에 적합한 스토리 구조의 구성을 위한 원천 콘텐츠 개발과 각색 중심의 기획을 주요 목표로 한다.
디지털애니메이션연구(Digitalized Animation Research)
IP콘텐츠의 주요 원천 분야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과 세계관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서사구조의 학술적 분석을 주요 목표로 한다.
커뮤니케이션이론(Communication Theory)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포괄적으로 섭렵하고 이를 자신의 연구에 응용해봄으로써 기초적인 연구능력을 습득한다.
생성형 AI 이해와 활용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생성형 AI의 원리와 다양한 응용 분야를 학습한다. 텍스트 생성, 이미지 생성, 동영상 생성 등 생성형 AI 기술을 이해하고, 교육 및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영상이론세미나(Film and Television Criticism)
영화, TV 드라마, CF 등 영상 관련 제반 이론을 고찰하여 영상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이론적 토대를 함양한다.
언론법제와 윤리(Media Law and Ethics)
언론관계 법률과 윤리를 이해함으로써 언론 종사자들의 직업적 규범을 내면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문화연구(Digital Culture)
This course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e, exploring its global impact on society, culture, and everyday life while fostering critical thinking about digital media's role and effects. 이 과정은 디지털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하며, 디지털 미디어가 사회, 문화, 일상생활에 미치는 글로벌 영향을 탐구하고 그 역할과 효과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한다.
전공선택 |
언론특강(Topical Seminar in Journalism)
한국 언론과 관련된 제반 이슈들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토픽을 선정하여 팀별로 토론을 진행한다.
방송세미나(Seminar on Broadcasting)
방송에 대한 제반 이슈를 고찰하고 방송이론에 근거하여 이들 이슈를 분석, 평가한다.
커뮤니케이션과 문화(Communication and Culture)
커뮤니케이션과 문화를 둘러싼 기본적인 개념들을 고찰하고,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 문화연구가 갖는 전통들을 살펴보면서, 문화연구의 방법론들이 갖는 특성들과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정치와언론(Politics and Media)
커뮤니케이션과 권력간의 관계를 조명하고, 미디어의 정치적 기능 및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미디어와 선거과정 및 투표자의 의견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한국방송론(Broadcasting in Korea)
한국 방송의 역사, 제도, 편성 및 제작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한국방송의 사회적 기능과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한국방송의 미래를 조망한다.
텔레비전분석과 비평세미나(Television Analysis and Criticism)
텔레비전 내용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텔레비전이 미치는 제반 영향에 대한 폭넓은 분석과 비판을 행한다.
국제커뮤니케이션론(International Communications)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발전궤도 속에서 현재의 국제질서와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인터넷커뮤니케이션연구(Internet Mediated Communication)
현대 사회에서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는 인터넷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개인적 관점, 대인적 관점, 매스미디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구한다. 인터넷커뮤니케이션 관련 이론을 이해하고우리 현실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현대디지털 테크놀로지연구(Modern Digital Technology Research)
본 수업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포함한 현대의 디지털테크놀로지가 작동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기술의 확대가 미디어와 콘텐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조감한다.
정보사회와 뉴미디어(Studies on Information Society and New Media)
정보사회의 기반구조로서 뉴미디어의 특성과 유형을 살펴보고, 뉴미디어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미치는 효과와 역기능을 분석한다.
다양성과 미디어(Diversity and the Media)
This course explores diversity and media, analyzing representations of groups such as gender, race/ethnicity, and age, as well as their impact on society and the ethics of media production. 이 과정은 다양성과 미디어를 탐구하며, 성별, 인종/민족, 연령과 같은 집단의 묘사를 분석하고 이러한 묘사가 사회와 미디어 제작 윤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영상산업론(Studies on the Film Industry)
이 강의는 영화산업의 구조와 관행을 이해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영화산업의 기본 개념과 흥행실적을 둘러싼 다양한 요인, 그리고 법제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영화산업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언론정보학을 포함해서 경영학, 경제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강의는 최근의 연구를 검토하면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 경향에 대한 논의 또한 포함하고자 한다.
위험사회와미디어(Risk Society & Media)
위험사회라는 사회학적 시대 진단을 이해하고 이 위험사회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지닌 위험 거버넌스의 주 요소들을 섭렵한다. 또, 종합적 위험 대응으로서의 위험 거버넌스에서 주된 기능을 하는 미디어의 작용 메커니즘과 위험인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본다.
Advertising and Society
This course explores the ethical dimensions of advertising and its societal impact, fostering critical and informed approaches to media consumption and production. 이 과정은 광고의 윤리적 측면과 사회적 영향을 탐구하며, 미디어 소비와 제작에 대한 비판적이고 심층적인 접근 방식을 함양한다.
영화와 사회 Film and Society
The course examin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inematic representations on modernity and modernization in Korean society. The goal is to develop broad understanding of post-colonial South Korea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in narrative films. The film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manner, and I will provide historical overview of South Korean cinema. Concurrently, the course is structured around particular thematic issues such as failure of state governance, violence at macro and micro level, Korean War, labor movement, America in the imagination on modernity,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cultural tradition, etc. It is important to come to critical terms with the way in which South Korean films address and represent pressing social concerns. How South Korean films have functioned as a particular cultural medium to construct and disseminate the various ideas and ideals of Korean modernization is given special consideration.
AI 미디어 윤리와 규제 (Ethics and Regulations of AI Media)
AI 기술 활용 시 발생하는 윤리적, 법적 이슈를 다룬다. 개인정보 보호, 알고리즘 편향성, 인공지능 윤리 등 관련 법제와 정책을 이해하고, 윤리적인 AI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AI 기반 미디어 제작 실습 (AI-based Media Production Practice)
AI 도구를 활용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실습한다. AI 기반의 영상, 음성, 그래픽 등의 제작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개발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AI·미디어 사용자 경험 설계
본 수업에서는 미디어의 사용자 경험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의 도출, 측정, 수집 방법의 설계, 그리고 분석을 통한 시사점 반영에 이르는 사용자 경험 설계의 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미디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 과목은 AI 기술이 미디어 교육에 도입되면서 생긴 변화와 가능성을 다룬다. AI가 교육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를 검토하며, 이론적 배경과 실무적인 접근법을 모두 학습한다. 교육 현장에서 AI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AI 기반 학습 도구나 플랫폼을 직접 사용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AI를 활용한 교육 설계와 평가 방법도 심도 있게 다룬다.
미디어효과와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가 개인과 집단, 나아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탐구하며, 이러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과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동시에,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과 이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도 다룬다. 전통적 미디어부터 디지털 미디어까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미디어 효과와 리터러시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미디어리터러시 연구 세미나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최신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토론과 발표를 통해 심도 있는 학문적 논의를 진행한다. 학계에서 논의되는 주요 이슈와 트렌드를 파악하며, 학생 개개인의 연구 주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비판적 사고와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며, 연구 윤리와 실질적인 연구 방법도 다룬다.
AI·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설계 프로젝트
이 과목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설계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AI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융합 가능성을 탐구하며, 실질적인 교육 자료와 커리큘럼을 개발한다.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소셜미디어와 소셜콘텐츠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작동 원리와 그 안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소셜 콘텐츠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사용자 참여, 알고리즘, 콘텐츠 확산 등의 개념을 탐구하며, 소셜미디어가 개인과 사회의 의사소통 방식, 문화 형성, 그리고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소셜 콘텐츠 기획 및 제작 기술을 익히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도 배운다.
건강행동과 미디어교육 (Health Behavior and Media Education)
건강 행동의 이론적 배경과 미디어의 역할을 결합하여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개인과 집단의 건강 행동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촉진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활용 방안을 학습한다.
AI와 스토리텔링
이 과목은 학생들이 AI를 활용하여 이야기 구조를 설계하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생성하며, 서사적 경험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설계되었다.
AI·미디어 테크놀로지와 교육
AI와 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 경험을 설계, 분석, 개선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동시에, 디지털 시대 교육의 철학적·윤리적 쟁점을 다룬다.
에듀테크 및 AI활용교육 사례연구
인간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첨단 기술 활용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탐색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설계이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주요 설계원리인 구성주의 교수설계 모형 및 관련된 심리학 이론을 탐색한다
성인발달과 미디어교육
성인학습자의 발달적 특징과 학습요구를 분석하여 미디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함. 전생애발달론을 바탕으로 각 생애단계별 학습자 특성과 미디어 경험을 심층 분석하여, 미디어교육의 기획과 설계에 필요한 성인학습자 이해를 도모하고자 함.
AI미디어학습자연구
본 강좌는 미디어 학습자 연구의 주요 이론과 방법론을 습득하고, 실제 연구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하고자함. 특히,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AI미디어 학습자 연구에 초점을 두어 관련 이론 및 연구방법 습득을 목표로 삼고자 함.